이 연구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인 조직 구성원의 리더십 역량 향상을 위해 기업이 많은 교육훈련 투자를 하고 있는 리더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 수준을 측정하고,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국내 P사의 중간계층 리더들의 리더십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자체적으로 개발한 리더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종속변인인 학습전이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리더십교육 프로그램의 학습목표와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총 21개의 전이행동 측정지표를 개발하였다. 독립변인인 학습전이 영향요인은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전이동기, 교육내용, 전이설계, 강사능력, 상사지원, 동료지원 및 변화가능성의 9개 요인에 대해 50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프로그램을 이수한 지 3개월이 경과한 15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학습전이 수준은 학습전이 행동 측정지표에 대한 총점 평균을 5점으로 환산한 결과, 평균 4.25점으로 학습자들의 학습전이 수준이 높은 편이었다. 둘째, 본 연구대상 프로그램의 경우 학습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인식수준에 있어서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상사지원에 대해 높은 인식수준을 보이는 것은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학습전이와 영향요인인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상사지원이 학습전이에 매우 높은 상관과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육훈련 내용, 강사능력이 개인적 특성요인과 작업환경 특성요인 보다 낮은 상관과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과목 별로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일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고정적으로 정형화 된 것이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HRD 전문가들은 학습자들의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하는 요인들에 대해 전략적으로 확인하고 학습전이 측정시스템을 사전에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transfer, and to measure the level of learning transfer in the participants of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made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learning transfer, a dependent variable, focusing on the program’s learning materials and goals. These 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y are listed as follows: self‐efficacy, motivation to learn, motivation to transfer, content validity, transfer design, trainer’s competency, supervisor support, peer support, and openness to chan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below. 1) the total average of the learning transfer action measurement index was converted to 5 points. the program’s participants’ level of awareness of the variabl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transfer was above normal in self‐efficacy, motivation to learn, motivation to transfer, content validity, transfer design, trainer’s competency, supervisor support, peer support, and openness to change. 2) the correlation between influencing factors and learning transfer of all the programs’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all nine factors. 3) the factors of self efficacy, supervisor support, motivation to learn and trainer’s competency showed a direct effect on the learning transfer of the entire participants. 4) according to the learning transfer in each subject and the direct effect of influencing factors, supervisor support displayed the strongest effect only in Understanding Business Environment class and self efficacy showed the most vivid effect in other classes. the influencing factor of self efficacy displayed the highest effect on the learning transfer in the classes of Innovative Mind, Organizational Behavior, Business Ethics, and Fair Evaluation for the team leader group. However, the supervisor support factor showed the strongest effect in Understanding Business Environment and Information Security clas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