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업적응과 조직몰입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djus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이 연구는 직업적응이론(Theory of Work Adjsutment : TWA)에 기초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만족, 직무충족 및 조직몰입의 수준과 개인 및 학교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 직무만족과 직무충족의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104개교, 총 997명의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는 기존 측정도구를 번안․수정하여, 직무충족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0.89, 0.79, 0.95이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충족 및 조직몰입 수준은 보통 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충족 정도가 조직몰입과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전문교과 교사의 조직몰입 하위영역 중 규범적 몰입, 정의적 몰입, 근속적 몰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만족 수준과 관련하여 남자 교사가 여교사 보다, 비담임 교사가 담임교사보다, 보직교사가 비보직교사 보다 높았다. 다섯째, 실업계 고등학교의 체제 변화에 따라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능력 개발을 위한 자격연수 및 직무연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충족은 직무연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자격연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이와 함께 후속 연구로서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만족, 직무충족 및 조직몰입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들을 구명하는 연구, 자격연수의 운영과 성과에 대한 연구,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이외에 보통교과 교사,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직업적응 수준을 조사하여 비교하는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TWA), work adjustment can be determined by individuals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oriness. Job satisfactoriness is determined by the correspondence between individuals abilities and workplaces requirements. Job satisfaction is determined by the correspondence between individuals needs and workplaces reinforcements. Based on these definitions, data was collected from 997 teachers in 104 vocational high school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as slightly higher than neutral level, and the job satisfactoriness slightly higher tha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②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orines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was higher than that of school background variables. ③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vocational teachers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neutral level. ④ In terms of systemic change, the change of curriculum of the school and the creation of new departments affected positively the job satisfaction of the vocational teachers in part.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