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기업체 근로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조직특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mployee 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이 연구는 HRD에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이해하는 것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학습 장(場)을 구성하는 조직 및 직무특성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유의표집(purposeful sampling)방법을 통해 비교적 차별적 조직특성을 지닌 8개의 회사 근로자를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의 도구로는 먼저 종속변인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측정하기 위해 박지혜(1998)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조직특성의 측정을 위하여 경영자의 학습 인식, 다양성, 학습지원적 제도, 고객지향성, 참여 및 권한 위임, 팀워크, 개방적 의사소통, 혁신지향성 등 총 8개의 변인을 포함한 도구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학력, 직무유형, 산업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연령, 근무연수에 따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및 직무특성 역시 산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장으로서의 조직특성을 대표하는 8개 변인들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낮은 유의미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중다회귀분석의 결과, 조직특성 변인들 가운데 다양성, 학습지원적 제도, 고객지향성, 혁신지향성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산업별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 변인의 설명력이 서로 다르며, 또한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확인된 변인들도 서로 상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corporate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them,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population was all corporate employees in Korea. Using purposeful sampling technique, 690 corporate employee of 8 companies were sampled for the study. 413 out of 69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 response rate of 59.5%), of which 397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SDLRS) based on SDLRS K-96 by Kim & Kim(1996),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demographic questions was use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cale consisted of thirty-six 5-point likert-type items measuring eigh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op manager s attitude toward learning, difference, learning support system, customization, employee involvement and empowerment, teamwork, open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rporate employee s SDL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employees educational level and job.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corporate employee s SDLR and employee s sex, age, and the number of working years. 2. All of 8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top manager s attitude toward learning, difference, learning support system, customization , employee involvement and empowerment, teamwork, open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had positive low relationship with corporate employee s SDLR. 3. The level of corporate employee s SDLR was explained mostly by difference, learning support system, customization, and innov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