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식물자원ㆍ조경영역의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방안

A Plan for Setting Questions of Examination for Appointing Plant Resources & Landscaping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 19

이 연구는 식물자원․조경 영역을 담당한 우수한 농업교사 선발을 위한 출제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한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농업교사 자격 기준과 식물자원․조경 관련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교사 양성 기관 교육과정, 임용고사 기출제문제 분석을 포함한 문헌 연구와 식물자원․조경 교사의 전문성 수행 수준과 교육 요구에 대한 현장교사와의 면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연구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기출제문제 분석 결과 출제된 평균 비율은 작물원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농업교육론, 농업정보에 대한 비중이 점차 강조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교사에 대한 면담, 설문 결과, 전문성 수행 수준에 대한 인식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식물자원․조경 교사 임용을 위한 출제 영역은 농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18개 과목, 교육부 지정 기본 이수 15개 영역 및 양성 대학 교육과정상의 공통이수 10개 영역을 근거로 농업교육론, 농업정보, 작물, 원예, 조림, 조경의 6개 영역을 도출하였으며 내용요소간의 중첩을 고려하여 농업교육론, 농업정보, 작물․원예, 조경․조림의 4개 영역으로 최종 출제 영역이 설정되었다. 출제영역별 반영 비율은 농업교육론 30%, 농업정보 10%, 작물․원예 40%, 조경․조림 10%가 적절하다고 제안되었으며, 영역별로 하위 영역과 구체적인 출제 요소를 도출하고 제안된 평가 준거 및 방향 준수, 교과교육학 반영비율의 상향조정, 교육 현장을 반영한 실제적 문제 출제 등의 평가 및 출제를 위한 구체적인 적용 지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lan for setting questions of examination for appointing plant resources & landscaping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For this purpose, plant resources & landscaping curriculum and textbook were analyzed. The tendency of questions was identified from questions were set in the past. Major research methods were the interview with teachers, survey, experts review, and a public hear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scopes of possible questions were drawn from analyzing of 18 subjects in agricultural high school, 15 appointed subjec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10 subject of teacher education universities. The scopes were (a)agricultural education, (b)agricultural information, (c)plants & horticulture, and (d) landscaping & afforestation. (2)The portion of the scopes were agricultural education 30%, agricultural information 10%, plants & horticulture 40%, and landscaping & afforestation 20%.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