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유형별로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농촌지역 주민(학부모) 및 교사의 교육혁신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을 4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학부모 708명, 교사 37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부모 및 교사의 농촌학교 교육여건 개선요구, 학부모의 자녀교육 지원요구, 농촌학교 교사의 지원요구 및 학부모의 지역사회 교육기회 개선요구를 지역유형별로 구명하였다. 농촌지역 교육혁신에 대해 밝혀진 주요 요구는 ①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는 농촌학교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방과후 교육활동 기회와 통학편의 및 교통편 제공 등을 우선적으로 원하였다. ②농촌지역 학부모는 자녀교육 지원에서 예체능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학습도우미를 지원해 주길 요구하였다. ③농촌학교 교사들은 농촌학교 근무수당을 지급하고 사택을 제공해 주기를 우선적으로 요구하였다. ④학부모의 지역사회 교육기회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마을공부방 운영,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⑤한편, 이러한 요구는 구체적인 운영방안이나 우선순위에서 농촌지역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지역별로 다른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dentify the needs of rural parents and teachers on education innovation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Based on the survey of 708 parents of students and 371 teachers in rural areas that are divided according to 4 types, the needs of education innovation were identified. That includes improving education condi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supporting education of children for parents, supporting rural school teacher, and improving opportunities of community education for par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needs of improving education condition for parents is supporting education activities after school, and traffic services. (2)The needs of supporting education of children for parents is increasing opportunities of arts and sports learning, and offering helpers who are facilitating learning. (3)The needs of supporting rural school teacher is increasing allowances for rural school duty and private residences. (4)The needs of improving opportunities of community education is operating village studyrooms and increasing education programs for rural residents. (5)And there is much room for consideration of varying approach in different localities because of different need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