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도시와 농촌지역의 가정 문해환경 및 유아의 읽기능력 비교연구

A Study on the Children s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Reading Ability in Urban and Rural Areas.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농촌 가정 문해환경과 유아의 읽기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가정 문해환경과 유아의 읽기능력과의 상관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있는 유치원 유아 133명과 안성시 면지역의 유아 94명으로 총 227명의 유아이다. 연구결과는 도시농촌 가정 문해환경은 도시의 평균이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아의 읽기능력은 도시와 농촌의 지역별, 연령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유아의 읽기능력과 가정 문해환경은 도시의 경우 유아와 나누는 대화정도가 유아의 읽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농촌의 경우 대화정도, 가정 문해환경 사용정도, 책을 읽어줄 때의 상호작용 모두가 유아의 읽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유아의 문해발달은 지지적인 가정의 문해환경과 적극적인 대화,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문해경험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가정에서 동화책을 매개로 한 부모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유아가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문해 관련 활동이 풍부한 가정의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of urban and rural areas and its impact on children s reading abil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3 kindergarteners in Seoul and 94 young children in Anseong-Gun area. Fitzgerald s (1991) questionnaires was used to measure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of each household. The analytical standards of Dickinson, Temple, Hirschler, and Smit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analyze the mutual influence of mothers reading storybooks to their children. Also,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 (1988) reading test(Type Da) was used to measure the reading ability of children. In result, the average home literacy environment was better in urban area,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However, the reading capacity of children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the type of locality (urban or rural) and ages. In urban area, the frequency and depth of conversations with infants positively influence the reading capacity of children, whereas conversations, the use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mutual interaction by reading influence the reading capacity of children in rural area. Based o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literacy development of children was highly influenced by supportiv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active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parents to actively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who first start their literacy experiences by using storybooks or other measures that aid children s abundant literacy activities at hom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