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Characteristics of Action Research Conducted by Vocational Agriculture Teachers and their Needed Competences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현장연구 특성과 연구 능력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에 의해서 수행되어지는 현장연구의 특성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연구 능력을 분석하는 것이며, 2003년 현재 우리나라의 농업계 고등학교의 농업교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2003년 4월에 전국의 26개 고등학교에 498부가 배부되었고, 343부가 회수되어, 68.9%의 회수율을 기록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3부를 제외한 340부가 통계에 사용되었다. 농업교사들에게 배부된 설문지는 응답한 농업교사의 일반적인 사항, 농업교사들에 의해 수행된 현장연구의 특징, 농업교사들의 현장연구 수행능력 수준, 농업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현장연구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등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업교사들의 현장연구 수행능력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문헌조사에 의해서 얻어진 23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응답자들은 각 항목이 나타내는 현장연구에 필요한 능력에 대해서 ‘매우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에 답하였다. 각 문항간의 신뢰계수는 0.96이었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PC +10.0 이었다. 변인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은 빈도분포와 평균, 표준편차 등이었고, 차이 검증을 위한 통계적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교사, 더 오랜 교직 경험을 가진 교사,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교사, 현장연구에 관한 연수경험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더 많은 현장연구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수행한 현장연구의 형태는 주로 개인연구였고, 현장연구의 주제는 생산농업, 조사연구와 실험연구를 사용하는 농업교과교육주제에 관한 것이었다. 셋째,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현장연구의 결과를 농업교육협회의 현장연구논문대회나 영농학생전진대회를 통해서 발표하고 있었다. 넷째,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현장연구 수행 능력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다. 다섯째,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현장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주된 어려움은 시간이나 능력, 연구관련 자료의 부족 등이었다.

Ⅰ. Introduction/Theoretical Framework

Ⅱ. Purposes and Objectives

Ⅲ. Methods and Procedures

Ⅳ. Results/Findings

Ⅴ. Conclusions

Ⅵ. Recommendations/Implication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