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의 감정무시 반응과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정서신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arental Emotion Disregarding Reactions and University Students’ Harm Avoidance on Somatic Symptoms: The Mediating Effect of Beliefs about Emotions

  • 8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부정적 정서 표현에 대한 부모의 감정무시 반응과 위험회피 기질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신념이 이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대학생 418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의 감정무시 반응, 위험회피 기질, 정서신념, 그리고 신체화 증상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아버지의 감정무시 반응과 위험회피 기질은 정서신념을 완전매개하여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감정무시 반응과 위험회피 기질은 정서신념을 부분매개하여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위험회피 기질과 부모의 감정무시 반응이 정서신념을 매개하여 신체화에 영향을 미쳤으나, 아버지와 어머니의 모형에서 차별점이 나타났다. 이에 정서신념을 다루어주는 심리적 개입이 신체화 증상을 개선하는 것에 있어 중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이와 더불어, 신체화 증상이 특히 어머니의 직접적인 감정 무시 반응으로도 야기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교육적이고 예방적인 접근 역시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beliefs about emo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parental emotion disregarding reactions to child’s negative emotions, harm avoidance and their somatic symptoms. Methods: To examine this hypothesis, four hundred and eighteen students completed measurements that assessing parental emotion disregarding reactions to child’s negative emotions, harm avoidance, beliefs about emotions, and somatic symptom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beliefs about emotion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emotion disregarding reactions to child’s negative emotions, harm avoidance and somatic symptoms. Meanwhile beliefs about emotion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otion disregarding reactions to child’s negative emotions, harm avoidance and somatic symptoms. Conclusions: Although harm avoidance and parental emotion disregarding reactions influenced somatic symptoms by mediating beliefs about emotions, there were differences seen in the father and mother models. Thus, psychological intervention dealing with beliefs about emotions is suggested to be important in improving somatic symptoms. In addition, we propose that an educational and preventive approach is also necessary, especially considering that somatic symptoms can also be caused by direct emotion disregarding reactions from mothers.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