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이 책 읽기 상호작용, 만 4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arent-Child Wordpla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Reading Interactions, S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of 4-year-old Children
- 648
연구목적: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을 각 가정에서 실시하여 책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44명의 만 4세 유아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12주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말놀이에 적합한 그림책 14권을 선정하여 말놀이를 구성하고,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적 상호작용 방법과 말놀이 교육 동영상을 각 가정에 전달하여 이를 숙지하고 실행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의 변화를 부모가 최대 주 3회 기록하였고, 부모의 질문에 대해 매주 연구진이 온라인 답변을 하고, 직접 소통하는 질의응답 시간을 2회 가졌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와 자녀가 그림책을 활용한 말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다수의 그림책을 읽고 말놀이를 즐겼으며, 유아는 그림책에 대해 높은 흥미를 갖고 질문하였고, 부모는 긍정적인 정서로 참여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이후,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시간이 늘어났고, 부모의 확산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발화 빈도가 증가하였다. 셋째, 참여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은 책 읽기 상호작용과 유아의 이야기 이해, 음운론적 인식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arent-child wordpla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n each household to discover its effects on reading interactions, s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Methods: Forty four children of 4 year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pre and post-testing was conducte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12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14 picture books suitable for wordplay were selected, and educational videos were delivered to each household. Parents recorded changes up to three times a week. Researchers gave online answers to parents’ questions every week and had two sessions where they communicated on-line. Results: First, parents and children read several picture books and enjoyed wordplay while participating in wordplay programs on a daily basis. Children asked questions about picture books with high interest, and parents participated with positive emotions. Seco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interaction time for reading picture books increased, and divergent interaction of parents and frequency of children’s speech also increased. Third, s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hav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on book reading interactions, s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had been confirmed.
서 론
연구 방법
결 과
논 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