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기 내장형 의료용 전동 침대: 안전성과 내구성 시험 표준 개정 및 사용자 현황
A Medical Electric Bed Incorporated with a Toilet: Standard Revision for Safety and Durability Test and Current User Status
- 정은성(Jeong, Eunseong) 박상수(Park, Sangsoo) 박찬호(Park, Chan Ho)
- 표준인증안전학회
- 표준인증안전학회지
- 제11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3
- 33 - 44 (12 pages)
노인 및 장애인의 용변 처리를 위한 기저귀 착용은 환자 본인의 자존감을 크게 훼손시키며, 간병인에게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기저귀를 갈아주어야 하는 과정에서 근골격계의 질병을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환자의 자존감을 지키고 간병인의 노동 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환자의 용변을 처리해주는 기기의 개발이 매우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환자의 배뇨와 배변을 감지하여 흡입 펌프로 이송하여 폐기물 저장 용기에 저장하는 자동 배설 처리장치는 아직까지 많은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 문제점들은 환자의 허벅지 사이에 위치하여 움직임을 방해하는 부피가 큰 용변 수집 장치와 세척 및 살균이 어려운 길고 좁은 오수 처리관 등이다. 자동배설처리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환자의 침대에 변기를 내장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이 경우 변기의내장으로 인한 침대 구조의 변경이 수반되므로 안전성과 내구성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팀은 변기 내장형 의료용 전동 침대를 개발하여 안전성과 내구성 시험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했으며, 이 제품은 최근 보건 복지부 장기 요양 보험에 등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개발 된 변기 내장형 전기 의료용 침대의 평가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과 해결책을 보고하고, 이 새로운 의료용 침대의 사용자 현황에 대한조사 결과를 논하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 이상인 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있으며, 노인 용변 관리는 매우 시급하게 개선되어야하는 분야이며, 변기가 내장 된 의료용 전동 침대의 케이스는 관련 기술 개발과 함께 적용 가능한 시험 표준 개발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Wearing pads for disposal of urine and feces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greatly damages self-esteem of the patient, and frequent pad changing at regular intervals is the biggest factor causing musculoskeletal diseases of the caregivers. In order to protect the patient s self-esteem and reduce the labor intensity of the caregiver, developments of urine and feces disposal systems for the bed-bound patients are urgently requested. Automatic urine and feces disposal systems, which detect the patient s urination and defecation, transfer it to a waste storage container by a suction pump, have not been widely used for the bed-bound patients due to various unresolved issues. The problems of this system include bulky urine/feces collection device placed in between the thighs of the patient that interfere with patient’s movement, and long and narrow waste disposal channel that is difficult to clean and sterilize. As a way to bypass the problems of the automatic urine and feces disposal systems, there is a method of incorperating a portable toilet in a patient s bed. In this case, a change in the bed structure is inevitable and safety and durability issues must be addressed first. We invented a toilet-incorporated medical electric bed, and resolved the safety and durability issues successfully, and it was recently listed in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Long-term care insurance. In this paper, we report the problems and solutions that occurred in the evaluation process of the newly developed toilet-incorporated electric medical bed, and discuss the survey results on the user status of this new medical bed. Korea has entered an aged society with more that 14% of its population aged 65 and above, urine and feces care for the elderly is an area that needs to be improved very urgently. This case of medical electric bed with incorporated toilet provides a good example of awakening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applicable test standard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Ⅰ. 서 론
Ⅱ. 변기침대 구조와 사용법
Ⅲ. 시험 인증 과정
Ⅳ . 사용 현황 조사
Ⅴ. 고 찰
Ⅵ.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