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165.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 조손가정 초기 성인기 손자녀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불안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mong Early Adult Grandchildren Raised in Multigenerational Families in China

  • 55

본 연구는 부모화 경험, 불안 애착이 조손가정 초기 성인기 손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중국에 거주하는 18~29세의 조부모와 단독적으로 3년 이상의 생활경험을 갖고 있는 2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SPSS 23.0와 Process Macro 3.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 첫째, 조손가정 초기 성인기 손자녀의 부모화 경험, 불안 애착, 대인관계문제는 중간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 경험과 불안 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불안 애착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손가정 손자녀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이고 조손가정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육을 개발하는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상담 및 치료 개입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arentification and anxiety attachm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mong early adult grandchildren in multigenerational household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9 participants coming from multigenerational households aged 18 to 29 living in Chin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3.3 Results: First, the grandchildren have experienced extensive parentification, have formed anxiety attachment, and have faced problem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parentification and anxiety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ttachmen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develop meaningful programs for multigenerational household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