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217.jpg
KCI등재 학술저널

4~6세기 찰갑을 통해 본 한일 교류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as Seen Through Scale Armor in the 4th to 6th Century

  • 395

그간 고대 한일 간 교섭과 교류를 주제로 한 연구 성과는 적지 않다. 특히 금속 제품은 한일 기술 교류의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는 자료이다. 본고가 검토 대상으로 한 갑주와 같은 무구에 관해서도 고대 한일 관계를 살펴보는 기초적 자료 검토가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고대 갑주 연구는 4∼5세기대에 출토된 판갑으로 주제가 한정되어 당시 사회문화상을살펴보기 어렵다. 이에 필자는 또 다른 주요 갑옷인 찰갑을 대상으로 하여 한일 양국 기술 교류의 기초적 검토를 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삼국시대 찰갑 자료가 많이 축적된 영남지방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찰갑의변천과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일본지역 출토 자료와 비교하였다. 고대의 찰갑은 여러 형태의 소찰을 엮어 만든 것으로 부위별로 다양한 특징이 있다. 그중에서 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요찰은 단면 형태 변화에 큰 특징이 있다. 요찰 단면이 ‘Ω’자형인 찰갑은 그간 고대 일본 고유의찰갑으로 인식해 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도 적지 않은 자료가 확인되어 이를 검토해 본 결과, 요찰 단면이 ‘Ω’자형인 찰갑은 한반도의 제작 시기가 다소 빨라서 일본열도 내 이 유형의 찰갑은 금공(金工)갑주를 포함한 다른 갑주들처럼 제작 과정에 한반도의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출토된 찰갑 중왜와 관련이 있거나 왜계 찰갑으로 보는 자료에 대해서는 향후 면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투구와 부속갑은 그간 한일 관계 연구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검토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자료가 증가하여 복발이나 장식을 덧댄 돌기부주나 금동장차양주, 부속갑 붕 경갑(頸甲)과 비갑(臂甲) 등 한반도에서 일본열도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큰 자료들이 확인된다. 본고는 한일 고분 출토 자료의 비교 분석에만 주력하였으나 향후 각국의 갑옷을 수용한 목적과 배경, 양국에 미친 영향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There have been quite a few studies conducted in both Korea and Japan on exchanges and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ancient period. Among many academic disciplines, archaeology has been productive in the study of, among others, the exchange of techniqu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ancient times thanks to tangible artifacts. These artifacts make up for the lack of textual sources, and they can present new subjects for study. Among the numerous types of archaeological findings, metal artifacts are deemed particularly productive as materials for the study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There have not been enough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weaponry – particularly armor, such as the examples dealt with in this study – but there has certainly been some accumulation of basic information which can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ancient times. Studies on ancient Korean and Japanese armor have been largely focused on plate armor dating back to the 4th and 5th centuries; however, they are not enough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ultural environment of the two areas in the early phase of history. In this study, the main discussion focuses on scale armor as they contain important clues for increasing basic knowledge on the exchange of technologies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The sources used for the discussion are the artifacts unearthed in the Yeongnam area, which is known to have more scale armor dating back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Scale armor discovered in this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made by fastening small metallic scales of various shapes to each other. Among them, the scales used for the armor’s waist underwent dramatic changes in their shape. These scales include those with Ω-shaped cross-sections; these were originally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Japanese examples of the same period. Quite a lot of armor of this type have been excavated in Korea, providing important sources for the study of ancient scale armor in Korea and Japan. Research on armor made of Ω-shaped scales for the waist – which was conducted as part of this study – revealed that those examples discovered in Korea were produced earlier than armor of the same type found in Japan, implying that the Japanese examples had been were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Korea armor. This discovery also suggests that the ancient Korean armor with Ω-shaped waist scales did not necessarily originate from – or have a direct connection to – the Japanese examples of the same period. The research also suggests the need for these artifacts to be reviewed more closely.

Ⅰ. 머리말

Ⅱ. 4~6세기 찰갑의 특징과 변천

Ⅲ. 4~6세기 찰갑을 통해 본 한일 기술 교류와 특징

Ⅵ. 맺음말 – 요약과 과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