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happiness
-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 상담복지경영연구
- 제5호
-
2020.121 - 24 (24 pages)
- 123

본 연구는 전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행복에 관한 내용을 탐색하고자 진행하였고, 이들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수원시 및 화성시 소재 4개 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48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자신이 생각하는 행복은 걱정이 없고, 편안하고, 풍족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행복해지기 위해서 항상 긍정적인 생각, 취미활동, 가족과 시간 등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이 주는 행복은 개인 간 편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로 근무하면서 대상자의 삶에 변화가 있고, 고마움을 표현할 때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 사회복지사가 진심으로 지지해줄 때, 상사가 자신을 인정해지고, 기다려 줄 때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기관은 사회복지사가 행복하기 위해서 적정한 업무를 부여해주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일하고, 직원복지를 향상시켜 주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ntents of happiness for social workers who provide services for the happy life of the whole people, and it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to improve their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8 social workers working at 4 welfare centers located in Suwon and Hwaseong.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happiness that they think of themselves is in a state of being comfortable, comfortable, and abundant. In order to be happy now, it was always positive thoughts, hobbies, and family time. The happiness that the job as a social worker gives was found to vary widely among individuals. While working as a social worker, there was a change in the subject s life, and it was found to be happy when expressing gratitude. It turns out that they are happy when a fellow social worker sincerely supports them, and when their boss acknowledges them and waits for them. In order for social workers to be happ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hould provide appropriate work, work in a free atmosphere, and improve employee welfar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