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기자의 심리적 외상 경험수준과 직무열의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 반응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Draw-A-Person-in-the-Rai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Level of Psychological Trauma and Work Engagement of Journalists
- 이승현(Lee, Seung-Hyun) 이영애(Lee, Young-Ae)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예술심리치료연구
- 제17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3
- 365 - 387 (23 pages)
본 연구에서는 취재기자의 심리적 외상 경험수준과 직무열의 간에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 차이와 판별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S시, D시 및 K지역에 소재한 종합일간지, 경제지 및 방송사 취재기자 143명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외상 기억 질문지, 직무열의 척도,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및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재기자의 심리적 외상 경험수준 상・하위집단 간에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차이를 검증한 결과, 총 스트레스, 비의 양, 비와 구름의 접촉, 구름의 수, 구름의 면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취재기자의 직무열의 수준 상・하위집단 간에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차이를 검증한 결과, 총 대처자원, 얼굴 모습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셋째, 취재기자의 심리적 외상 경험수준과 직무열의 수준에 따른 군집 간의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차이를 검증한 결과, 총 스트레스, 비와 구름의 접촉, 구름의 수, 구름의 면적, 전체 보호물의 수, 얼굴 표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고 전체 판별력은 50.4%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취재기자의 심리적 외상 경험수준과 직무열의를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로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Draw-A-Person-in-the-Rain(DAPR) and discriminatory power between journalists experience level of psychological trauma and work engagement. The research subjects were 143 journalists in daily newspapers, economic journals, and broadcasting companies located in S-city, D-city and G-reg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journalists using ATMQ, UWES, and DAPR. First,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DAP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the journalists experience level of psychological trauma,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tress level, amount of rain, contact with rain and clouds and number and area of clouds. Second,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DAP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journalists work engagement level,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oping resources level and their facial appearance. Third,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DAPR between clusters as per the journalists experience level of psychological trauma and work engagement,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tress level, the contact with rain and cloud, the number and area of clouds, the total number of protectors, and facial expressions, and the overall discriminatory power was 50.4%. So, this study identified the usability of DAPR test as a diagnostic tool to measure the journalists experience level of psychological trauma and work engag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