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인지행동 미술치료 연구동향(2005-2020)

Research Trend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2005-2020):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 401

본 연구는 인지행동 미술치료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2020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총 55편을 수집하여 연구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연도 동향은 2015년에서 연구논문이 비중이 높았지만 꾸준히 발행되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 특성별 동향에서 구성별 연령은 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대상자 동향에서 문제행동이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의 동향에서 투사검사는 HTP, K-HTP검사가 가장 많았으며, 객관적 검사는 정서 영역이 가장 많은 측정도구로 사용되고 있었다. 넷째, 연구내용은 집단미술치료가 많았으며, 회기 및 시간은 10회기 이상과 70분 이상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되고 있었다. 또한 목표 및 기대효과는 자기이해를 다루는 연구가 많이 되고 있었으며, 미술표현방법은 그리기 영역 중 크레파스, 오일파스텔 등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 미술치료의 발전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in order to explore the research flow and suggest a direction of the research. For this, 55 dissertation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throughout the year 2005 up until 2020 were collected and the year of the research,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trend of the year of the research was the highest for research dissertations in 2015, dissertations are being published steadily. Second, for the trend of the characteristics in each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highest number of researches was targeted on teenagers in terms of age organization and problematic behaviors appeared the most as the trend of the research subjects. Third, for the trend of the research methods, HTP and K-HTP were most common as the projective test and objective test is being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with the highest ratio of cognitive domain. Fourth, there were many collective art therapy, and sessions and times were the most studied in more than 10 sessions and 70 minutes. In addition, goals and expected effects have been a lot of research on self-understanding, and art expression methods have been used a lot of easily available tools such as crayons and oil pastels in the drawing area.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