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443.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과 경험에 대한 비교 탐색

An Analysis of Korean and America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110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서 비교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예비교사 10명, 미국의 예비교사 8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관해 인터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나라의 예비유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다문화 교육을 상호 간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서로 공존하기 위한 교육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한국 예비교사들은 반편견 교육에 중점을 둔 반면 미국의 예비교사들은 문화, 종교, 지역 등 다양성을 포괄한 교육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두 나라의 예비유아교 사들은 대학 이전에 다문화 교육 관련 경험이 제한적이었으나, 한국 예비교사들은 교육 실습 중 다문화 가정 유아와의 경험이 다문화 교육에 관심을 갖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미국 예비교사들은 대학 내 교실 안, 밖으로 다양한 인종, 문화 경험이 다문화 교육 실행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다문화 시대에 발맞추어 두 나라의 예비유아교사들 모두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한국 예비교사들은 다문화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교사와 학부모의 편견을 없애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미국 예비교사들은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학교 차원의 지원, 교사의 노력, 그리고 교육과 정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두 나라의 예비교사들은 현재 대학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내 유아교육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들이 분석되고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Korean and America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hat experiences they have had. The participants were 18 pre-service teachers(10 Koreans and 8 Americans), who enrolled in a four-year undergraduate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analyzed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perceiv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differences and respect others and to promote an equal society for all people. However, the Korean pre-service teachers mainly connected multicultural education to anti-biased curriculum while the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diverse factors, such as culture, religion, race, and reg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mmon, the participants had limite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before college. After they entered college, the Korean pre-service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ir field experiences helped them understand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their interactions with people from other cultures on and off campus helped them to be open-minded to children from different cultures in schools. All of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global era. In order to pursu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Korea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reducing prejudice is prioritized while the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that the school’s support, teachers’ changed attitude, and curriculum change are necessar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Lastly,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felt that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college does not adequately prepare pre-service teachers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