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454.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조건적 관심과 청소년의 조건적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기비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ditional Interest and Adolescents’ Conditional Self-Esteem*

  • 27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조건적 관심과 청소년의 조건적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적 태도와 자기비판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강원도 내 12개 시군지역 중고등학교 재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성실하게 답한 324명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변인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측정모형 및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조건적 관심과 청소년의 조건적 자존감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조건적 관심과 자기자비적 태도는 정적 상관을, 자기비판적 태도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자기자비적 태도는 청소년의 조건적 자존감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비판적 태도는 청소년의 조건적 자존감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부모의 조건적 관심과 청소년의 조건적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적 태도와 자기비판적 태도 모두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조건적 자존감 감소를 위한 학교상담 프로그램 개입으로 자기자비적 태도의 향상과 자기비판적 태도의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설계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 conditional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to identify the role of self-compassion as a factor that blocks the process of forming conditional self-esteem or a factor that can improve the conditional self-esteem formed by healthy self-esteem. The survey data of 32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angwon-do were analyzed by SPSS 24.0 and Amos 24.0 progra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 conditional self-esteem of adolescen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perceived by adolesc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ate attitud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ritical attitude. Third, self-compassionate attitud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ditional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self-critical attitud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ditional self-esteem of adolescent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ditional regard and adolescents’ conditional self-esteem, self-compassionate attitude and self-critical attitude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that program design for improving self-compassion attitude and reducing self-critical attitude would be effective for intervention of decreasing conditional self-esteem in the school counseling program.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