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학교 밖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특수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전문학습공동체가 가진 교사 전문성 신장의 역할과 기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특수교사 주축의 학교 밖 전문학습공동체를 운영하거나 참여 중인 특수교사 8인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특수교사는 교육전문가로서의 성장을 희망하며 학교 밖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하였다. 학교 밖 전문학습공동체는 자발적인 교사들의 학습 모임으로, 수평적 관계를 바탕으로 참여교사 간에 자유롭게 지식, 자료, 노하우 등을 공유하였다. 학교 밖 전문학습공동체를 통해 특수교사들은 교육전문가로서 자신의 역량을 발굴, 확대하고, 배움에 리더십을 보이며 교사로서의 성취감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학교 밖 전문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시간을 내거나 장거리 이동은 부담이 되었으며, 참여교사 간의 기대 수준을 맞추는 것이 어렵다고 하였다. 특수교사들의 전문학습공동체가 좀 더 확산, 발전되기 위해서는 진입장벽을 낮추고 참여자들의 기대와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주제를 다루는 모임과 활동을 인정해주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전문학습공동체가 활발해지도록 자료 지원 플랫폼의 확충과 교사 배움을 장려하는 교직문화가 확산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전문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이 특수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갖는 의미와 촉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LC) outside of their schools. Eigh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volved in PLC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implemented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on how they engaged in PLC target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ison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ve major themes emerged. Th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spirations to acquire their expertise in teaching. They believed that PLC, especially outside of school was a safe place for pursuing teacher learning. Also PLC was recognized as an entity to help special education teachers enhance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However, difficulties and barriers existed while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and managed PLC activities. To facilitate PLC in special education, its openness and diversity in PLC subjects and activities as well as its support system should be increased.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PLC in special education were provided.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