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41.jpg
KCI등재 학술저널

연의소설(演義小說) <김영철전>(金英哲傳)의 창작 방법

조원경본을 중심으로 본

  • 30

조원경본 <김영철전>(金英哲傳)은 1762년 무렵에 박증대(朴增大)라는 인물이 필사한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는 현전하는 긴 편폭의 <김영철전> 이본들 가운데 ‘김영철 서사’의 효시인 <김영철유사>(金英哲遺事)에 가장 근접해 있다. 본고에서는 조원경본을 중심으로 <김영철전>의 창작 방법을 원리적 차원에서 고찰함으로써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이 주요하게 활용되었음을 밝혔다. 첫째는 사실(史實)을 활용한 역사의 전경화(前景化)이다. 둘째는 허구(虛構) 창조에 의한 부연(敷衍)이다. 이 두 가지 창작 방법을 통해, 조원경본은 김영철이라는 실존 인물의 파란만장한 삶을 사실에 기초하되 허구를 보태어 감동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었으며, 김영철의 삶을 매개로 17세기 동아시아 역사의 주요 사건들을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조원경본의 창작 방법 두 가지를 종합해 보면, 동아시아의 전통적 글쓰기 방법인 ‘연의적(演義的) 원리(原理)’를 주요하게 활용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홍세태본으로 대표되는 ‘전계소설(傳係小說) <김영철전>’과 구별하여, 조원경본 등 보다 긴 편폭의 <김영철전>을 ‘연의소설(演義小說) <김영철전>’으로 새로 명명하였다.

The Kimyoungcheoljeon, owned by Jo Won-gyeong, refers to a text transcribed by a person named Park Jeung-dae around 1762, and is the closest to Kimyoungcheolyousa, among the relatively long texts of Kimyoungcheoljeon. In this paper, the text owned by Jo Won-gyeong is examined, revealing that two creative methods were mainly used. The first is the foreground of history using historical facts. The second is the augmentation by fictional creation. Using these two methods, the text owned by Jo Won-gyeong was able to express all the twists and turns in the life of Kim Young-cheol based on facts, while adding fiction in a touching way. In summarizing the two creative methods of Kimyoungcheoljeon, owned by Jo Won-gyeong, it can be said that the ‘Yeon-ui(演義) s Principle’, the traditional East Asian writing method, was mainly us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latively long Kimyoungcheoljeon, represented by the text owned by Jo Won-gyeong, was renamed as ‘Yeon-eui novel Kimyoungcheoljeon’,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Jeongye(傳係) novel Kimyoungcheoljeon’ written by Hong Se-tae.

Ⅰ. 머리말

Ⅱ. 연의소설 <김영철전>과 <김영철유사>의 관계

Ⅲ. 연의소설 <김영철전>의 창작 방법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