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42.jpg
KCI등재 학술저널

홍태유(洪泰猷)의 <유설악기(遊雪嶽記)> 연구

A Study on Hong, Taeyu s Yuseorakgi

  • 9

본고는 설악산 유기사에서 주목할 만한 작품인 홍태유(洪泰猷)의 <유설악기(遊雪嶽記)>를 고찰했다. 가화를 겪은 이후 산수유람 등에 몰두했던 홍태유는 1709년 가을에 이종사촌 임적(任適)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과 함께 설악산을 유람했다. 홍태유가 설악산을 유람한 데는 김수증(金壽增)과 김창흡(金昌翕) 등 장동 김씨(壯洞 金氏) 문인들의 영향이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유설악기>를 고찰한 결과 이 작품이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지닌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로 유람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작품의 전개가 설악산 유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또 유람의 과정이 단절되는 느낌 없이 자연스럽게 흘러가게 만들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설악산 산수미를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해 묘사와 서사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방법이 구사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로 앞서 밝힌 특징들에 상응하게 설악산 산수미를 세상에 알리고자 한 뚜렷한 창작 의식이 작품의 저변에 깔려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유설악기>는 설악산 유기사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로 설악산 유기 창작이 하나의 뚜렷한 흐름으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 참여한 작품이라는 점, 둘째로 곡백담[백담계곡]에서 봉정암에 이르는 구간의 산수미 및 유람 방법을 체계적으로 밝힌 첫 작품이라는 점이다.

This article reviewed Hong, Taeyu s Yuseorakgi, remarkable work of history travelogue to Mt. Seorak. Hong, Taeyu had been immersed in landscape sightseeing after a disaster to a family, toured Mt. Seorak in the fall of 1709, along with the cousin of Im, Jeok, and others. It seems that Hong Taeyu s sightseeing to Mt. Seorak was influenced by the literary men of Jangdong Kim s, such as Kim, Sujeung, and Kim, Changheup.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Yuseorakgi,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sightseeing utilized actively, the development of the work, had centered the sightseeing of Mt. Seorak. Also, it makes the process of sightseeing flow naturally without feeling disconnected. Second, various methods used in terms of description and narrative to effectively highlight the beauties of nature in Mt. Seorak. Third, there is apparent creative consciousness at the base of the work to inform the world of beauties of nature in Mt. Seorak in correspond to the features mentioned above. This Yuseorakgi has the following importance of the history of travelogue the Mt. Seorak. First, it is the work that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Mt. Seorak s travelogue in one distinct flow. Second, it is the first systematical work to reveal the way of sightseeing and beauties of nature from Gokbaekdam[Baekdam Valley] to Bongjeongam.

Ⅰ. 들어가는 글

Ⅱ. 홍태유의 산수 애호와 설악산 유람

Ⅲ. <유설악기>의 특징

Ⅳ. 마치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