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권득기(權得己, 1570∼1622)의 「이생송원록(李生訟寃錄)」을, 계명대 소장 필사본 『유연전』에 실려 있는 이항복의 「유연전 후서(後敍)」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유연전 후서」는 현재까지 제목만 알려져 왔고 실물은 전해지지 않은 자료로, 「이생송원록」의 창작 동기와 내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담고 있다. 「유연전 후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유연전」의 내용과는 달리, 「유연전」의 작자 이항복 스스로도 유연 옥사의 주범을 이지(李禔, 1523∼1579)로 단정하는 데 유보적이었다는 점 및 유연 옥사 당시 유유로 사칭했던 사기꾼 채응규에게 현혹된 사람들이 보다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유연전 후서」의 내용 중에서도 당시 유연 옥사의 주범으로 지목되었던 이지의 무고(無辜)함을 뒷받침할 수 있는 단서를 위주로 유연 옥사의 전개를 재구성한 것이 「이생송원록」이다. 본고에서는 계명대본 『유연전』에 실린 텍스트들의 내용을 참조하여, 현재까지 창작연대가 불확실했던 「이생송원록」의 창작시기를 1609년 이후로 비정(比定)함과 더불어, 내용 면에서 이지의 무고함을 뒷받침할 근거로 채응규의 성공적인 사기 행각을 상술하였고 특히 유연까지도 채응규의 사칭에 속았음을 강조한 점에 주목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Yisaengsong’wŏllok(A Record for redressing Mr. Yi’s grievances) in comparison to a newly found manuscript, Yuyŏnchŏn Husŏ(Afterword to the Biography of Yuyŏn) included in Yuyŏnchŏn, held by Kyemyŏng University library. Yuyŏnchŏn Husŏ which has been known by its title without contents offers valuable information and insights into the understanding of Yuyŏnchŏn written by Yi Hangpok: first, the author of Yuyŏnchŏn which blames Yi Ji, Yu Yŏn’s brother- in-law, doubted the culpability of Yi Ji; second, the impersonator Chae Ŭngkyu was extremely successful in impersonating Yu Yu, Yu Yŏn’s elder brother, hence many people were bewildered by Chae’s fraud, which exculpates Yi Ji’s intentional framing of Yu Yŏn. Also, ‘Yuyŏnchŏn Husŏ’ allows specifying the year Yisaengsong’wŏllok was written, which is after 1609. Yisaengsong’wŏllok elaborates Yuyŏnchŏn Husŏ by focusing on the following points: Yu Yŏn himself once misrecognized Ch’ae Ŭngkyu as his own brother, which is silenced in Yuyŏnchŏn. These features imply that we need to take the historicity of literary texts more seriously rather than solely focus on aesthetic aspects of a given text.
Ⅰ. 머리말
Ⅱ. 계명대 소장 유연전의 체제와 「유연전 후서」
Ⅲ. 「이생송원록」의 체제와 특징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