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대용의『간정필담(乾淨筆譚)』이본고(異本考)
A Study on the Variant of Hong, Dae-yong(洪大容) s Ganjeongpildam(乾淨筆譚)
- 채송화(Songhwa Chae)
- 국문학회
- 국문학연구
- 제37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05
- 115 - 137 (23 pages)
본고는 현전하는 홍대용 필담 이본들을 망라하여 그 현황을 소개하고, 이를 크게 세 계열로 나누었다. ⑴ 『회우록』계 이본, ⑵ 『연휘』 중 『간정필담』, ⑶ 『담헌서』 중 『간정동필담』이 그것이다. 그 중 계열⑵에 속하는 『간정필담』과 계열⑶인 『간정동필담』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총 8종의 이본이 현존하는 『간정필담』은 『연행잡기』와 한 세트를 이루어 유통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간정필담』은 조선 내의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를 목적으로 저술된 단독 필담집이다. 필담 서두에서 필요한 사전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항주 선비들과 주고받은 서간문들을 대폭 추가하여 짧은 기간 동안 우정이 깊어지는 과정을 설득력 있게 그려내고 있다. 또한, 명나라 유민의식이 표출되는 대목들을 통해 홍대용이 그 유포 범위를 조선으로 한정한 저작임을 밝혔다. 『간정동필담』은 『간정필담』보다 분량이 더 많으며, 홍대용이 필담 당시 나누었던 이야기들을 최대한 수록하고자 노력한 필담 소재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 있다. 조선과 청나라의 다양한 문물과 제도들이 필담 전편에 걸쳐 소개되었고, 다양한 신분과 국적을 가진 등장인물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진솔한 면모가 잘 묘사되어 있다. 또한, 홍대용은 청나라의 치세를 긍정하며 조선과의 실제 외교 관계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와 같이 흥미로운 소재가 무궁무진한 『간정동필담』은 필담 초기본인 『간정동회우록(乾淨衕會友錄)』이나 『간정록(乾淨錄)』에 더욱 근접한 이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urrent status of Hong, Dae-yong s written conversation variants and divides it into three major groups. Which are 1. Hoeurok(會友錄) group variants, 2 Ganjeongpildam(乾淨筆譚) in Yeonhwi(燕彙), 3. Ganjeongpildam(乾淨衕筆談) in Damheonseo(湛軒書). This article focused on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2 Ganjeongpildam in Yeonhwi and 3. Ganjeongpildam in Damheonseo. A total of eight variants are currently available for Ganjeongpildam. It seems to have been circulated as a set together with Yeonhaengjapgi(燕行雜記). Ganjeongpildam is a solitary written conversation written for the purpose of publicizing to the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Chosun. It provides the necessary beforehand information in preface of the written conversation, and it adds a lot of ephemeral writings with Hangzhou(杭州) scholars so that the process of deepening friendship for a short period of time is convincingly drawn.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Hong, Dae Yong limited the range of his dissemination to Chosun through passages expressing Ming Dynasty ruined country’s consciousness. Ganjeongdongpildam has more contents than Ganjeongpildam, This book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trove of written conversation, which Hong, Dae-yong tried to record as many stories as possible. Various artifacts and institutions of Chosun and Qing Dynasty were introduced throughout the written conversation, and characters with various nationalities and identities are appearing and their true aspects are well portrayed. In addition, Hong, Dae Yong affirmed the reign of Qing Dynasty and appreciated the real diplomatic relations with Chosun. In this way, there is a lot of interesting material in Ganjeongpildam, and it can be said that Ganjeongpildam is closer to that of Ganjeongdonghoeurok(乾淨衕會友錄), Ganjeongrok(乾淨錄) which is early variant of written conversation.
Ⅰ. 문제 제기
Ⅱ. 『간정필담』의 이본 현황
Ⅲ. 『연휘(燕彙)』 중 『간정필담』의 특징
Ⅳ. 『담헌서(湛軒書)』 중 『간정동필담(乾淨衕筆談)』의 특징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