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61.jpg
KCI등재 학술저널

<우활가>의 작품세계와 그 의미

The literary world of Uhhwalga(迂闊歌) and its meaning

  • 27

지금까지 <우활가>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는 작자 정훈의 사회적 지위에 관심을 두거나 작품에 나타난 정서를 해석하는 데 큰 관심을 두었다. 그러나 관련 자료를 검토해보면 정훈을 몰락한 양반으로 보는 것은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작품에 나타난 정서를 비롯해 <우활가>의 작품세계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17세기 국문시가 작가들이 자신들의 작품에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토로했다는 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우활가>의 주제인 우활도 17세기 가사 문학사에 새롭게 등장한 주제라는 점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우활가>의 작품세계를 정체성의 측면에서 해석함과 동시에 ‘우활’이라는 주제의 문학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우활의 의미를 검토하고, 우활을 다룬 동시대 작가인 박인로의 가사 작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우활가>의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했다.

Up to now, prior study on Uhhwalga(迂闊歌) has paid much attention to the social status of writer Jung Hoon(鄭勳) and to interpret the emotion expressed in his work. Especially,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emotion expressed in the wor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ld of Uhhwalga(迂闊歌) accurate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 that 17th century Korean classical poetry has expressed concern for identity in their works.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and interpreted the work world of Uhhwalga(迂闊歌) in terms of identity. And Uhhwal(迂闊) is a new theme in the literary history of 17th century.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and examined the meaning of loyalty. And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Uhhwalga(迂闊歌) through comparison with the works of Park In&#8211;ro(朴仁老), a contemporary writer dealing with Uhhwal(迂闊).

Ⅰ. 서론

Ⅱ. <우활가>의 작품세계

Ⅲ. <우활가>의 문학사적 의미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