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67.jpg
KCI등재 학술저널

正祖를 弔喪한 百韻挽詞

The Hundred Rhymes Elegy Condoling with Jeongjo

18세기 초에 希菴 蔡彭胤이 松谷 李瑞雨를 조상한 <松坡李參判輓, 七言百韻>을 지은 데서 발원된 남인시인이 남인선배를 조상한 백운만사를 7수에 이르도록 이어진 전통은 우리 한시사의 一大奇事라 할 수 있다. 이로 말미암아 간과하기 어려운 시사적 의의를 지닌 백운만사는 남인에 의해서만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노론시인이 지은 작품도 확인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18세기 말의 시인인 윤행임이 지은 7언배율 백운만사인 <健陵輓詞>는 노론시파에 속하는 시인이 지은 작품이라는 점뿐만 아니라 탁월한 군주였던 正祖를 곡만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검토할 만한 가치가 크다. 이 논문은 석재 윤행임의 7언배율 백운만사인 <건릉만사>의 전편을 역주한 데 이어,작품이 지닌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비평적으로 자세히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석재의 <건릉만사>가 지닌 압운·평측·대장 등 제반 형식적 측면, 의미구조 및 그 세부적 전개양상, 표현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7언율시 25수로 이루어진 200구에 이르는 장편배율인 이 작품은 곡만시 일반은 물론이고 시인이 오래 近侍하였던 뛰어난 군주를 위한 애도시에 요구되는 여러 제약과 난점을 극복하고 수작으로서의 요건을 두루 갖춘 시편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e Namin poets tradition of a hundred rhymes elegy come from Hiam Chae Paeng-yoon s poem had condoled with Songgok Yi Seo-woo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is a great queer event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The existence of a hundred rhymes elegy become known written by Namin poets only. But the fact that a work by a Noron poet was solemnly is worth notice. <The Elegy for the Keonneung> is a hundred rhymes elegy written by Seokjae Yun Haeng-im. This poem is worth checking for the reason of a work written by Noronsipa poet and also that of a condoling the King Jeongjo clearly. This thesis is a research for translation with notes and a critical study for characteristics of form and contents in it. By checking formal apparatus, meaning structure and expressive merits, this long poem as seven letters Baeyeul is worth being estimated an excellent work with fulfilling the nessesary conditions for not only as an general elegy but also as a monody for condoling a great king.

1. 조선 후기의 백운만사 전통과 <健陵輓詞>

2. <건릉만사>의 전문

3. 형식과 내용의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