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67.jpg
KCI등재 학술저널

향가와 속요의 사이

Between Sokyo and Hyangga

  • 64

향가와 속요의 사이는 그 연속적 계승관계를 전제하거나, 작품과 배경의 차이에 주목하는 방식으로 논의되어 왔다. 양자는 시행 구성과 정서의 측면에서 대비되는 차이점을 지니고 있지만, 오히려 그 차이점 덕분에 이루어진 어조와 정서의 대칭 양상이 후대 시가사의 두 축이 될 수 있었다고 본다. 향가는 짧은 첫 행 또는 중간의 지나치게 긴 행을 통해 작가의 의도와 관습에 따른 비교적 자유로운 시행 구성을 시도하는 반면, 속요는 비슷한 분량과 패턴의 행과 연을 반복 배치함으로써 악곡의 자장 안에서 한결 규칙적인 구성을 취한다. 어조 및 정서를 놓고 보면 향가는 단일한 어조와 감탄사를 통해 하나의 정서에 깊이 침잠하지만, 속요는 이리저리 진동하는 입체적인 목소리를 시도한다. 특히 <정읍사>의 3단 구성은 분연체 속요와 유사한 구성의 초기형을 연상케 하는데, 속요의 연원이 백제가요와 관련되었다면 이로부터 향가와 속요의 병존 가능성을 떠올릴 만하다. 향가와 속요는 시행 구성과 어조, 정서뿐만 아니라 지역적 기반과 화자의 성격, 세계관 등의 많은 부분에서 대칭점이 많다. 이들 자질을 보다 체계화하여 초기 시가사의 문제를 해명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 할 것이다.

Between Sokyo and Hyangga, have been discussed in a manner that you can assume that Relation, focus on the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of the work. This article has a variance that is comparison from the side of Sokyo and configuration of line, but rather, it is a point that there be a two axis poetry history by the action of the difference. Hyangga while trying to relatively free Shigyo configuration based on customs and meaning of writers through the line too long or intermediate line of short first, Sokyo iterative Len row and quantity similar by placing, and a configuration more regular in the field of Music. If you look at the Sokyo and word length, Hyangga attempt to voice stand deeply sinking vibrates to Sokyo. On the other hand, Jeongeupsa is composed of 3 stages, there is a current affairs in conjunction with the personality of Baekjegayo as Engen of Sokyo.

1. 문제 제기

2. 시행 구성과 어조의 대비

3. 어조와 정서의 대칭

4. 향가의 대칭 장르로서 속요의 연원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