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782.jpg
KCI등재 학술저널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의 특성 및 경제활동상태와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actors affecting their economic activity status and intent to work

DOI : 10.24226/jvr.2021.4.31.1.175
  • 370

본 연구의 목적은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의 특성을 살펴보고, 경제활동상태와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9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1,334명 중 비경제활동인구 96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가 주로 하고 지내는 활동은 쉼(66.2%)이었고(‘심신장애’ 39.2%, ‘쉬었음’ 27.0%), 구직을 하지도 취업을 희망하지도 않는 이유로는 장애로 인해 업무 수행이 어렵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취업지원 사항으로는 ‘특별히 없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경제활동상태과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여부, 장애등급, 초중고등학교 유형, 최종학력이 발달장애 인구의 경제활동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과 주관적 근로가능 수준은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성인 대상 실태조사 중 가장 규모가 큰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그동안 고용정책에서 배제되었던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의 실태에 대해 살펴보았고,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고용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e of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ir economic activity and their intent to work. The data of 964 economically inactiv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Economic Activity Status for the Disabled(2019)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The most frequent activity that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ot engaged was ‘taking a rest’(66.2%), and the most frequent answer for the reason they are not actively looking for a job nor even wish to have a job was ‘having trouble with work due to their disability’.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ir economic activity status were age, being/not being a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disability severity, type of elementary/secondary school, education level.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ir intent to work were age and subjective work 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designing disability employment policies particularly for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has long been neglected in employment polic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