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시간충분도의 조절효과

The Moderation Effect of Leisure Time Suffic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 281

이 연구는 연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행복이 어떻게 변화하고, 나아가 여가시간충분도 수준에 따라 여가시간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2019)에서 발표한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의 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전국 만 15세 이상 인구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다단계층화집락추출(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을 통하여 수집된 10,060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활용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가시간충분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ndrew F.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의 Model 1번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시간 증가는 행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가시간충분도 수준의 증가는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시간충분도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민들의 행복증진을 위하여 국가적·지자체차원에서 체계적인 여가교육과 여가컨설팅을 통한 건전한 여가활동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how happiness changes as leisure time increases, and, how leisure time affects happin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In this study, the original data of the 2019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9) was employed. A nationwide population aged 15 or older was set up as a popula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tested using Cronbach alpha. In addition, Model 1 of the Proce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Andrew F. Hayes was used to verify moderation effect of leisure time sufficiency.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isure time had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but leisure time suffici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Second, leisure time sufficien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