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국악 교육을 키워드로 하는 유튜브 콘텐츠 분석

Analysis of YouTube contents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keyword

DOI : 10.30832/JMES.2021.47.81
  • 647

본 연구는 국악 교육을 주제로 하는 유튜브 채널과 콘텐츠를 분석하여 유튜브 콘텐츠의 활용과 제작의 방향성에 대한 논제 선정 및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국악 교육을 주제로 한 10개 채널, 총 264개의 콘텐츠를 연구 대상으로 주제, 활동 영역, 내용제시 방법, 공개 시기, 콘텐츠 길이, 조회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 주제를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성악을 다룬 콘텐츠가 가장 많았으며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가창 영역 콘텐츠가 가장 많았다. 둘째, 내용제시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자유강의형이 가장 많았으며 2020년 이후 공개된 콘텐츠는 실제 학교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진행자가 적극적으로 수업 내용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개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개 시기, 콘텐츠 길이, 조회수를 분석한 결과 2020년 이후 공개된 콘텐츠의 수와 콘텐츠별 재생 길이가 급격히 늘었으며, 감상을 주제로 한 콘텐츠의 평균 조회수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더욱 다양한 주제·활동 영역의 콘텐츠와 교사 주도용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며, 더 다양하고 발전된 국악 교육이 진행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ubsequent research and selection of topics on the use and production direction of YouTube contents by analyzing YouTube channels and contents with the the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this end, 10 channel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a total of 264 contents were analyzed for the subject, activity area, content presentation method, contents released time, content length, and number of view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content, the contents that dealt with vocal music were the most, and as a result of categorizing it based on the activity area, the contents in the singing area were the mos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ontent presentation method, the content presentation method was varied by channel, but the content released after 2020 was developed in a way that the content host actively presents the class content so that it can be immediately applied to the actual school class.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release time, content length, and number of views, the number of published content and the length of content have increased rapidly since 2020,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number of views of content with the subject of appreciation was the highes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and advanced Korean music education will be conduc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various subjects and activities and contents for teacher-led activities, and analysis of the contents of YouTube contents currently being shar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