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85.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남지역 가단의 성립과 그 계승

Establishment of Yongnam Gadan(嶺南歌壇) and its succession

  • 58

전망이 글에 주어진 과제는 이른바 영남지역에 있어서의 가단의 형성과 그 전개과정을 살펴보는 일이었다. 그 결과 16세기의 전반에 경북 예안 지방에서 聾巖을 중심으로 활동한 가단의 존재를 다시 한 번 입증하고, 이 가단의 명칭에 대하여는 애초에 제안된 바 있는 영남가단이란 명칭보다는 최근에 제안된 汾江歌壇이란 명칭이 더욱 실상에 맞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루하고 장황한 논의를 하는 가운데 행간에 담아두었던 몇 가지 의견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우선 영남가단이란 명명법은 영남지역에 단 하나의 가단만 존재했다는 확증이 없는 한 동의하기 어려운 것이다. 영남가단이란 용어를 영남지역에서 산출된 국문시가의 내용과 그 역사적 흐름을 조감할 때에 한하여 계속 범칭으로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그 역시 혼란을 초래할 것은 분명하다. 영남가단이란 용어 대신에 영남시가란 용어를 잠정적으로 쓰자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聾巖을 맹주로 하는 경북 예안 지방의 汾江歌壇의 존재는 여러 가지 각도에서 충분히 입증된다. 이 가단은 聾巖의 어부가 산정과 향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간과 자연과 노래가 하나의 도를 이루는 경지를 추구함으로써 우리 문학 특히 한시와 시조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가단에 새로이 부여된 汾江歌壇이란 명칭은 가단의 활동무대가 되었던 여러 지소를 포괄하고 있다는 점, 16세기 국문시가 연찬 및 향유의 중심지이자 강호가도라는 사대부 계층의 새로운 문화 창출지로서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닐 수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적극 동의한다. 아울러 영남지역을 적어도 嶺左嶺右江岸 등 좀더 세분된 지역으로 나누어 그 각각의 지역에 가단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국문시가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해석하고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汾江歌壇의 문학사적 의의를 더욱 분명하게 입증하는 길이 되기도 할 것이다.예컨대 영우지역의 경우 南冥 曹植을 정점으로 하는 가단이나 또는 남명의 제자들이 중심이 된 가단의 형성 가능성은 매우 높아 보이며, 강안지역의 경우 開巖 金宇宏이 중심이 되거나 또는 그 일원으로 참여한 가단의 형성 가능성이 없지 않아 보인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영좌지역의 경우에도 聾巖이 타계한 후에 退溪를 중심으로 한 가단이 형성되었을 가능성 또한 없지 않아 보인다. 汾江歌壇은 이러한 가능성을 탐색하고 확인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가단의 활동을 분석하고 해명하는 가장 분명한 준거의 틀로서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될 것이 분명하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probe into the establishment of the Gadan(歌壇) in the Youngnam(嶺南) area and the process of its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istence of a Gadan(歌壇) featuring Nongam(聾巖) in the Gyungbook(慶北) Yeaan area was proved. The appropriateness of using the recently named Bungang Gadan(汾江歌壇) instead of formerly suggested Yongnam Gadan(嶺南歌壇) was approved. The need of the study of subdivisions in the Yongnam(嶺南) area an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Gadans in each subdivision was suggested. The future studies would help interpreting and explaining in depth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Siga(詩歌) and would be a way to manifest the significance of Bungang Gadan(汾江歌壇)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1. 문제의 제기

2. 가단의 개념

3. 가단의 형성

4. 또 다른 가단의 가능성

5. 요약과 전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