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초기부적응도식이 학교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Early Maladaptation Schema of Adolescent on School Stress: A Mediating Effect of School Life Adaptation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복지상담교육연구
- 제10권 제1호
-
2021.04215 - 234 (20 pages)
-
DOI : 10.20497/jwce.2021.10.1.215
- 87

본 연구는 청소년의 초기부적응도식과 학교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에 학교생활적응은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립변인인 초기부적응도식을 예측요인으로 보고 종속변인인 학교스트레스를 준거요인으로 보았다. 따라서 학교생활적응을 매개변인으로 간주하여 Karney와 Bradbury의 취약성․스트레스․적응의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의 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과 AMOS 21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초기부적응도식이 높을수록 학교스트레스는 높아졌고 학교생활적응은 낮아졌다. 둘째, 학교생활적응이 높을수록 학교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초기부적응도식은 학교생활적응을 통해 학교스트레스에 부분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초기부적응도식으로 인해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바,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학교상담에서 학교스트레스와 초기부적응도식을 주요한 요소로 관리하는 전략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adolescent’s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school stress, accordingly to verify how adaptation to school life is mediated. By verifying the correlation of these variables. It aimed to raise up active interest in adaptation to adolescent’s school lif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itial maladaptive schema, an independent variable, was considered as a predictive factor. Meanwhile, school stress, dependent variable, was considered as a criterion factor. Therefore, school adaptation, a mediator variable and set up Karney & Bradbury’s Vulnerability-Stress-Adaptation (VSA) Model. To this, 40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Gyeongnam province were asked to fill the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21. In summary, first, the higher the maladaptation is, the higher the stress is and the lower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is. Second, the higher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is, the lower the school stress i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arly maladaptive schema ha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stress through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necessity of a strategy was suggested to manage school stress and the early maladaptive schema as major factor in school counseling for adapt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restrictions and the direction for subsequent stud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