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아동의 정서와 학업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VID 19 Stress on Children’s Emotion and Academic Development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복지상담교육연구
- 제10권 제1호
- : KCI등재
- 2021.04
- 83 - 105 (23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해 발생되는 스트레스가 아동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코로나 19로 인해 발생되는 스트레스 양상을 확인한다. 둘째,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아동발달 수준을 확인한다. 셋째,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파악한다. 이를 위해 N 지역 아동 16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 19 스트레스 양상으로는 개인적 요인으로 친구를 만나지 못함과 외출 제한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으며, 가족 요인으로는 부모님의 불화에 따른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학교 스트레스는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심리정서 및 학업 발달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 19 스트레스는 우울과 공격성을 높이며, 스마트폰 의존율을 증가 시키고 학업성취 역량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결론 부분에서는 코로나 19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건강한 발달을 돕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tress from COVID 19 on the child development. For th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verifies the aspect of stress caused by COVID 19. Second, this study verifies the adolescent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ess. Third, this study understands the effects of stress from COVID 19 on the adolescent development.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otal 167 children in N region, by using the SPSS 22.0 for data analysis. In the results of analysis, regarding the aspect of stress from COVID 19, the personal factors included stress from not being able to meet friends and restriction on going-out while the family factors included high stress from parents’ discord. The academic stress was high because of online class. Nex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emotional, and academic development between group with high stress from COVID 19 and group with low stress from it. Lastly, the stress from COVID 19 increased their depression, aggression, and dependence on smartphone while it decreased the academic achievement competency.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part present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lieving the stress from COVID 19 and also helping healthy develop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