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검증
- 하수경(Ha, Su Kyung)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복지상담교육연구
- 제10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4
- 59 - 81 (23 pag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이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에게 발표불안 척도, 비합리적 신념 검사,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 성취동기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대학생의 발표불안,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점수는 평균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둘째, 발표불안은 비합리적 신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성취동기와 비합리적 신념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는 비합리적 신념과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학생들은 비합리적 신념이 높을수록 발표불안이 높고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는 낮았다. 또한, 비합리적 신념이 발표불안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relationship irrational beliefs and speech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asurements used for this study are Irrational Beliefs Test, Social Self-Efficacy Scale, Achievement Motivation Test and Speech Anxiety Test. This study used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Baron & Kenny’s metho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rrational beliefs, social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nd speaking anxiety are scored above average. Second, Speech Anxiety and irrational belief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ut soci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relation of irrational beliefs, social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nd speaking anxiety, social self-efficacy variable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among all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soci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mediated partially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speaking anxiety. By looking at these results,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more speech anxiety as they have high irrational beliefs, as they have low soci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is a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at irrational beliefs, soci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as an mechanism to reduce speech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Finally, a limit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