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05.jpg
KCI등재 학술저널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 침해 경험 실태 및 교권 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

Recognition and Support Plan for the Actual Situation of Teachers’ Infringement of Teaching Rights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Protection of Teaching Right

  • 78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 침해 실태와 교권 보호에 대한 인식, 그리고 지원방안을 조사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90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대부분 교사가 심각한 교권 침해 경험이 있고, 침해의 주체는 주로 학부모이다. 교권 보호 기본계획에 대해서는 저 경력 교사들이 더 인지하지 못하였다. 교사들은 교육정책 수립 시 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교권 침해 발생 시 해결의 주체로 정교사는 동료 교사를, 기간제 교사는 학교관리자라고 하였다. 둘째, 교권 보호 방안으로는 교사를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강화해야 하며, 학교와 교육청에서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교권 침해 예방과 교권 보호를 위해 교사는 전문성 향상을, 학교에는 교권 업무 담당 부서의 설치를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권 침해 상담 기관 홍보와 일선 학교와의 연계 프로그램 개발, 교권 업무 담당 부서 설치의 필요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 survey of 90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G metropolitan city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of infringement of school rights, awareness of protection of school rights, and support plans. As a result, first, most of the teachers had a serious level of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and the subject of infringement was mainly parents. Teachers with less experience were less aware of the master plan for the protection of teachers’ rights. Teachers said that teachers’ opinions were not reflected when establishing an educational policy for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n the event of a violation of teacher rights, the full-time teacher referred to a fellow teacher as the subject of resolution, and the fixed-term teacher was the school manager. Second, as a support plan for the protection of teachers’ righ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 social atmosphere that respects teachers, and that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should support them. In order to prevent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t was request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to establish a department in charge of teaching rights. Lastly, we discussed the promotion of teachers’ rights infringement counseling institutions and the development of linkage programs with front school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