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작업치료 학생들의 정신과 영역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wareness and Education Satisfaction in Psychiatric Field on Career Identity

  • 589
157697.jpg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정신과 영역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학교 중 정신과 교육과정이 있는 3, 4년제 학교를 선정하여 정신과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전공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고 인식도, 교육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인식도, 교육 만족도 하위 요인과 진로정체감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신과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 하위요인은 진로정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 교육 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교과과정 구성과 성적 평가, 실습 교육 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정신과 실습지도, 임상실습 후 만족도가 진로정체감과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이론 교육 만족도의 강의 및 실습과 성적 평가 요인이, 실습 교육만족도의 임상실습 후 만족도 요인이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정신과 작업치료에 대한 전공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형성을 위해서는 교육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wareness and education satisfaction in psychiatric field on their career identity.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122 students with experience in taking psychiatry courses from three to four-year schools with a psychiatric curriculu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and multi-recovery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wareness and education satisfaction on career identity. Results :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education satisfaction sub-factors and career identity showed that the relevance of awareness sub-factors to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 and career identit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oretical education satisfaction, the curriculum composition, grade evaluation and psychiatric practice guidance and satisfaction after clinical practice sub-factors of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ident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ecture and practice, grade evaluation factors of theoretical education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after clinical practice factors of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affect the career identity. Conclusion : To build a career identity for the students, there is a ne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follow-up studies to determine various factors on career identit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