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과 정상 수준 집단 간 사회성숙도와 문제행동의 차이
Differences in Social Maturity and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the Level of Sleep Problems in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이진경(Lee, Jin Kyeong) 하은혜(Ha, Eun Hye)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10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5
- 129 - 140 (12 pages)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과 정상 수준 간 사회성숙도와 문제행동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서울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의 소아정신과, 발달장애 클리닉, 재활의학센터 등에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ASD로 진단된 만 1-5세 영유아와 영유아 어머니 102명을 대상으로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유아행동평가척도(CBCL 1.5-5)와 사회성숙도 검사(SMS)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ASD 영유아의 수면문제 수준은 T점수에서 56.58로 나타났다. 수면문제는 CBCL 1.5-5의 하위척도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과 정상 수준의 2개 집단으로 나누었다. 집단 간 사회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이 정상 수준 집단보다 SMS의 사회지수가 낮았다. 또한, 정서적 반응성, 불안/우울, 신체증상, 위축 등 내재화 문제와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 등 외현화 문제가 심각했다. 이외 DSM 전반적 발달문제, DSM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DSM 반항행동문제 등 외현화 DSM 장애 증상이 유의하게 심각했다. 결론 :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은 정상 수준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사회성숙도와 심각한 문제행동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social maturity and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the level of sleep problems in children with ASD.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102 mothers of infants with ASD aged 1-5 years. The Social Maturity Scales (SMS) and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were used as the measuring tools. Results : The level of sleep problems in infants with ASD was 56.58T on the sleep problems scale.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ased on scores on the sleep problems scale: those with scores <65 (good sleepers) or scores ≥65 (poor sleepers). Sleep problem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the scales on the CBCL. However,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sleep problems and social quotients. Poor sleepers achiev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social quotient scale of the SMS than good sleepers. Poor sleepers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DSM-oriented scales on the CBCL compared to those in the good sleepers. Conclusion :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verified the severity of sleep problems in infants with ASD and has examined the differences in social maturity and behavioral problems between poor sleepers and good sleeper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