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ONE
한국판 일상생활활동중심 작업기반 신경행동평가(A-ONE)의 개발 및 평가
- 강재원(Kang, Jaewon) 박혜연(Park, Hae Yean) 김정란(Kim, Jung-Ran) 박지혁(Park, Ji-Hyuk)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10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5
- 109 - 128 (20 pages)
목적 : 본 연구는 타문화권에서 개발된 일상생활활동중심 작업기반 신경행동평가(A-ONE)를 국내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판을 개발하고 한국 환자에게 적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영문판 A-ONE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문화적 차이를 검토하였다. 완성된 한국판을 13명의 작업치료학과 교수와 작업치료사에게 국내 적용 가능성을 확인받고, 뇌졸중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 총 3개의 문항을 국내 문화에 알맞도록 수정한 결과, 한국판 A-ONE은 Index at the item level(I-CVI)=0.92-1.00을 보이며 평가 문항들이 국내 문화를 잘 대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과 상관관계는 의사소통영역을 제외하고 r =0.52-0.77(p>0.01)로 높게 나타난 반면,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와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내적일치도는 기능적 독립성이 Cronbach’s α =0.58-0.93, 신경행동손상이 α =0.42-0.93을 보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기능적 독립성이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0.79-1.00, 신경행동손상이 ICC=0.74-1.00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검사자간 신뢰도는 기능적 독립성이 ICC=0.75-1.00, 신경행동손상이 ICC=0.72-1.00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한국판 A-ONE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신경행동손상의 종류 및 손상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국내 임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평가도구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focused Occupation-Based Neurobehavioral Evaluation (A-ONE) through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 This study translated the A-ONE into Korean and performed cross-cultural adaptation for the Korean population.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ONE, cross-cultural and concurrent validities were analyzed.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were also evaluated. Results : We adapted three items to the Korean culture. The Korean version of the A-ONE showed high cross-cultural validity with a content validity index (I-CVI) >0.9. It correlated with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r=0.52–0.77, p<0.001), except for communication. Cronbach’s α was 0.58-0.93 for the functional independence scale (FI) and 0.42-0.93 for the neurobehavioral specific impairment subscale (NBSI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indicated high test-retest and inter-rater reliability for FI (ICC=0.79-1.00 and 0.75-1.00, respectively) and NBSIS (ICC=0.74-1.00 and 0.72-1.00,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Korean version of the A-ONE is well adapted to the Korean culture and has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It is recommended to evaluate ADL performance skills and neurobehavioral impairments simultaneously in Korea.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