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침흘림치료를 위한 비침습적 중재방법에 관한 고찰
경향 및 중재방법 분석
- 전주영(Jeon, Joo young) 박혜연(Park, Hae Yean)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10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5
- 37 - 51 (15 pages)
목적 : 본 연구는 주로 침흘림을 보이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비침습적인 치료적 중재와 침흘림 측정방법의 경향 분석 등에 대한 국외 문헌들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최근 15년 간(2005-2019) 국외 논문을 검색하여 총 265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1차 제목 및 초록을 중심으로 44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2차 원문 검색을 통해 10편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 선정된 논문의 PEDro Scale은 평균 6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는 뇌성마비가 주를 이루었고, 행동수정에 비해 구강감각운동의 치료적 중재가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었다.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 중재방법은 대상자의 나이, 인지수준, 대상자 수, 연구설계, 치료시간과 기간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침흘림 측정방법은 빈도와 심각성을 동시에 확인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침흘림을 보이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실시한 비침습적인 중재 중 대표적인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 중재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이러한 자료를 통해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치료를 통한 침흘림 프로그램 계획 시 적절한 치료적 중재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제공 및 근거를 마련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on-invasive treatments and drooling assessment method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drool. Methods : This study searched two hundred papers published in 2005-2019. Forty-four paper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bstract and title, and ten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following a secondary search. Results : The PEDro Scale of the selected papers was high with an average of seven poi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tren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rimarily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and recently,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of oral sensory exercise was more actively studied than behavioral modification. Studies of behavioral modification and oral sensory exercise intervention methods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in participant age and, cognitive level, number of participants, research design, treatment time, and duration. Studies to confirming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the drooling measurement method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tor. Conclusion : This study analyzed typical behavioral modification and oral sensory exercise interventions as examples of non-invas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vided information to help select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s when planning non-invasive therapy using behavioral modification and oral sensory exercise therap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