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정서적 방임 아동의 불안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Reducing Anxiety and Aggression in an Emotionally Neglected Child

  • 913
157861.jpg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정서적 방임 아동의 불안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8세 초등학교 2학년 여아로, 연구기간은 2018년 9월 27일부터 2019년 3월 8일까지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1∼2회기 60분으로 총 28회기를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Spielberger(1972)의 불안 척도(TAS), Buss와 Durkee(1957)가 제작한 Hosility Inventory를 노안녕(1983)이 번안한 공격성 척도(BDHI), HTP(집-나무-사람) 투사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정서적 방임 아동의 불안과 공격성에 대한 미술치료의 회기진행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정서적 방임 아동의 불안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불안은 사전에 상당히 높은 불안이었고, 사후에는 정상으로 나타났다. 또 추후에서도 정상범위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정서적 방임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격성의 모든 하위영역인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그리고 흥분성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추후에서도 지속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술치료가 정서적 방임 아동의 불안과 공격성 감소에 영향이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rt therapy for reducing anxiety and aggression in an emotionally neglected chil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8-year-old elementary school-aged girl. The study period lasted from September 27, 2018, to March 8, 2019, and the art therapy program for the subject consisted of 28 total sessions, one to two times per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The measurement tool used was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TAS), for which the anxiety scale for adults by Speilberger(1972) has been edited for children to ensure an easy understanding of the scale. In addition, the aggression scale from the Hostility Inventory by Buss and Durkee(1957) has been was adapted to reflect the Noh An Ryung of South Korea to be used. Finally, the Home-Tree-Man picture examination was administered. Based on these meas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affected the emotionally neglected child s level of anxiety. The anxiety related to the pre-test was quite high, but returned to a normal level post treatment. In addition, the child s level of anxiety remained normal during the follow-up tests. Second, the art therapy affected the emotionally neglected child s level of aggression. In addition, all sub-domains of aggression, -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bypass aggression, negativity and excitation - were also shown to have postmortem effects greater than dictionary definitions, indicating long-term persistenc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rt therapy can affect emotionally neglected children s anxiety and aggress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