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보호종, 흰발농게(Austruca lactea) 서식 개체수 추정에 대한 검토와 대안
Considerations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Local Abundance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the Fiddler Crab, Austruca lactea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갯벌에서 조사대상으로 삼는 멸종위기야생생물이자 해양보호생물, 흰발농게(Austruca lactea)의전체 개체수 추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무한모집단에 대한 전수조사는 불가능하며 이는 갯벌 내 제한된 서식처에서 개체수를 추정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표본으로부터 추정되는 서식 밀도 역시 다양한 생물학적, 생태학적 요인들로 인해높은 변동성을 보인다. 서식처 경계와 면적은 측정 오차뿐만 아니라 생물의 주기성이나 리듬 활동(주야, 간만 주기 등)에따라서도 달라진다. 따라서 밀도와 서식처 면적으로 산출되는 전체 개체수는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 같은 추정은 인천 송도 갯벌에서 3년 간 관찰된 흰발농게(A. lactea)의 평균 밀도와 표준오차 범위 그리고 공간분포의 시공간적 변동성에 근거하면 타당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출현 확률인 50%를 기준으로, 서식처 보존 가치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잠재적 서식처 면적을 전체 개체수 추정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보편성을 갖춘 모형으로부터 예측되는 잠재적 서식처는 대상종의 주요 환경조건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는다면 시간에 따라 일정한 모습을 유지할 것이다. 특정종을 대상으로 개발되는 모형은 추후 서식처 복원/조성 사업에서도 원하는 생물의 정착을 유도하는데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reviewed the methods employed in Korean tidal flat surveys to measure the local abundance of the endangered wildlife and marine protected species, the fiddler crab, Austruca lactea. A complete census for infinite population is impossible even in a limited habitat within a tidal flat, and density estimates from samples strongly vary due to diverse bi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The habitat boundaries and areas shift with periodicities or rhythmic activities of organisms as well as measurement errors. Hence the local abundance calculated from density and habitat areas should be regarded as transient. This conjecture was valid based on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the density averages, standard error range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rab, A. lactea observed for 3 years (2015-2017) in Songdo tidal flat in Incheon. We proposed the potential habitat areas using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50% from logistic regression model,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habitat conservation value as an alternative to local abundance. The spatial shape of potential habitat predicted from a generalized model would remain constant over time unless the species’ crit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change rapidly. The species-specific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introduction of desired species in future habitat restoration/creation projects.
1. 서 론
2. 조사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