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015.jpg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저당권이 설정된 토지의 점유시효취득에 따른 법률관계

Legal Matters regarding Acquisition of Mortgaged Property by Prescription-A Study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5Da75910 delivered on Dec. 5, 2006-

  • 61

이 글은 취득시효가 완성된 토지에 설정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변제한 시효완성자가 채무자인 원소유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대해 판단한 대법원 판결에 대한 평석이다. 대법원은 시효취득자가 원소유자에 의하여 그 토지에 설정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변제하는 것은 시효취득자가 용인하여야 할 그 토지상의 부담을 제거하여 완전한 소유권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자신의 이익을 위한 행위라는 이유로 시효완성자의 구상권을 부정하였다. 대상판결은 점유취득시효에 관한 판례 5원칙 중 3원칙이 소유권 이외의 담보물권에도 적용됨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원소유자가 저당권을 설정한 경우를 제3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점유취득시효가 인정되는 유형에 따라 시효취득의 효과로 저당권이 소멸하는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검토하고 이어서 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변제한 시효완성자 내지는 시효취득자에게 구상권이 인정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시효완성자의 점유가 권원의 존재에 대한 착오에 의한 점유인 경우에는 원소유자가 대상부동산에 저당권을 설정한 상태 그대로의 소유권을 이전해줄 것을 청구할 권리만을 가진다. 반면에 권원의 존재를 증명하지 못한 점유에 해당한다면, 취득시효기간 동안 등기부상 소유자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대상부동산에 설정된 저당권은 시효취득으로 소멸하나, 취득시효기간 중 등기부상 소유자가 변경된 경우에는 시효취득으로 대상토지에 설정된 저당권은 소멸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대상판결에서 원고의 시효취득의 기초가 된 점유는 권원의 존재를 증명하지 못한 점유에 해당하고 취득시효기간 동안 등기부상 소유자가 변경된 사정도 없으므로 대상토지에 설정된 각 근저당권은 원고의 소유권 취득의 효과로 소멸되어야 한다. 다만 원고가 소유권을 취득하기 이전에 경매절차가 개시된 사정으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변제한 것은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한 것으로 원소유자에게 구상권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므로 대상판결의 결론은 재고를 요한다.

This is a critical note on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whether the occupant of real property who paid obligations secured by the mortgage established over the property whose acquisitive prescription has been completed may exercise the right to claim reimbursement against the original owner of such property. In the foregoing case, the Supreme Court concluded that the relevant occupant shall not have the right to claim reimbursement on the ground that the acquisitor s payment of obligations secured by the mortgage created over the property by the original owner after the completion of pr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full ownership thereof by removing the encumbrance thereon, which should be tolerated by the acquisitor, and is therefore for his/her own benefit. The above judgmen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third one of the five principles of judicial precedents regarding acquisitive prescription applies to security interests other than ownership as well.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to treat equally the case where the mortgage was established by the original owner and the case where the ownership of property is transferred to a third party.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on a case-by-case basis, whether the mortgage is extinguishable by the effects of acquisition by prescrip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legally recognized acquisitive prescription and whether the occupant or acquisitor may have the right to claim reimbursement after paying the secured obligations. If the occupation of the property by the occupant was initiated due to his/her ignorance of the existence of the right of occupation, the occupant would only have the right to demand the transfer of ownership of the property as it is mortgaged by the original owner. On the other hand, in case that the occupant fails to prove his/her right to justify such possession, if there has been no change of the original owner of the property under the register of the property during the prescription period, the mortgage on the property should be extinguished upon acquisition by prescription, and if there has been any such change during the prescription period, the acquisition by prescription would not extinguish the mortgage on the property. According to the facts taken as the premise of the above judgment by the Supreme Court, since the plaintiff failed to prove the right to occupy the property and there has been no change of the original owner of the property during the prescription period, the mortgage over the relevant land should be extinguished. However, as the plaintiff paid the debt upon the commencement of auction procedure before acquiring the ownership,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the plaintiff has the right to claim reimbursement against the original owner. Therefore, the above judgment by the Supreme Court needs to be reconsidered.

Ⅰ. 서론

Ⅱ. 대상판결의 문제점

Ⅲ. 부동산 점유취득시효제도의 취지 및 인정 유형

Ⅳ. 점유취득시효완성에 의한 소유권 취득의 효과

Ⅴ. 점유취득시효가 완성된 부동산에 설정 된 저당권의 소멸 여부

Ⅵ. 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변제한 시효취득자의 구상권 인정 여부

Ⅶ.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