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151.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치원 교사가 원격수업에서 경험한 ‘연결’의 양상과 교육적 의미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of distance learning: The aspects of ‘connection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the ‘connections’

  • 241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갑작스레 도입된 원격수업을 유치원 교사가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한연결의 양상과 교육적 의미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료수집은 교사의 수업일지와 연구일지, 학부모 상담일지, 실시간 원격수업 영상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의미있는 단어를 찾아 이를 유목화하고 재구성하여 범주화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교사는 원격수업을 통해 기계와 인간, 시간과 공간, 교사와 유아 그리고 학부모, 유아 간 놀이경험과 생각의연결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결은 만남을 의미하였으며, 이는 다시 관계 맺기를 통한 만남, 접촉이그리운 만남, 유아 간 사적 대화가 결여된 만남, 결핍이 만든 새로운 만남으로 구분되어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원격수업에서 교사가 경험한 연결의 양상과 그 교육적 의미를 통해 유아기 원격수업의 방향성을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of distance learning focusing on the aspects of connections an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connec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ata was collected through teachers’ class logs, research journals, parents’ counseling journals, and class video recordings. The collected data were read and reread, and concepts were categorized and re-categorized as thematic codes were emerg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eachers were able to experience different kinds of connections during the pandemic, such as connections between machines and humans, time and space, teachers and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and play experiences and thoughts among children. These connections implied “encounters”, which included four different meanings: encounters through making relationships, encounters longing for contact, encounters lacking private conversations among children, and new encounters by lack of contac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ortant changing roles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young children’s distance learning an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connections made through the new type of learning.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