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전후 학교 내 학력격차 실태 분석 : 서울 소재 중학교 학업성취등급 분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achievement gap in schools before and after COVID-19 :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of academic achievement grades of middle schools in Seoul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후 학교 내에서 발생한 학력격차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중학교 382개교의 학업성취등급 분포를 바탕으로 3가지 지표(학업성취등급 비율 변화량, 학업성취 분포의 지니계수, 중위권 비율)를 산출하여 기술통계 및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사 동일집단을 대상으로 학교 내 학년 변화에 따른 학업성취등급 비율을 분석한 결과, 관심군(2019년 중2)과 비교군(2018년 중2) 모두 중학교 2학년에서 3학년으로 진급할 때 학력격차가 심화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를 겪은 관심군이 비교군보다 학업성취 분포의 불평등 정도(지니계수)의 증가 폭이 더 크고, 중위권 비율 감소 폭도 더 크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등급 비율을 살펴보면, 관심군과 비교군 모두 학년 변화에 따라 A등급이 증가하는 추세는 동일하였으나, 코로나19를 겪은 관심군의 경우 가장 하위권인 E등급 비율 또한 증가하면서 학력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밝혀졌다. 동일 학교 내 동학년을 대상으로 3개년도 학업성취등급 비율을 분석한 결과, 2018년부터 학교 내 학력격차는 대체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으나, 그 심화 정도는 코로나19를 겪은 2020년이 세 시점 중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등급 비율에서도 코로나19 발생 전인 비교 시점(2018년-2019년)의 경우 전년도 대비 A등급 비율은 증가하고 E등급은 감소하였으나, 코로나19가 발생한 관심 시점(2019년-2020년)은 A등급뿐 아니라 E등급도 증가하며 학업성취 양극화가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gap before and after COVID-19. To this end, three indicators (amount of change in the grade of academic achievement, the Gini coefficient of the distribution of academic achievement, percentage of middle-level academic performance) were calculated using the academic achievement distribution data of 382 middle schools in Seoul,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ntage of achievement grade between two groups when the school year changed, the achievement gap proved to be widened as both the focus group (8th grade in 2019) and the comparison group (8th grade in 2018) went up from 8th grade to 9th grade. However, the focus group experiencing COVID-19 showed a larger increase in the Gini coefficient and a larger decrease in the percentage of middle-level academic performance than the comparison group. While the highest grade (A) increased when both groups changed from 8th grade to 9th grade, the lowest grade (E) also increased for focus groups experiencing COVID-19, suggesting deepened polarization. Also, even if the trend of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academic achievement grades in the same grade at same school proved that the gap in academic performanc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8, the degree of the gap was the largest in 2020 when COVID-19 spread. A different aspect of the changes in percentages of grade distribution between comparison period(2018-2019) and focus period(2019-2000) when the increase of grade (E) is especially distinguishable demonstrates the deepened achievement gap.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