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과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Use of Smart Media and Cyberbullying
- 김진영(Jin Young, Kim)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교류분석상담연구
- 제11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6
- 117 - 135 (19 pages)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새로운 유형인 사이버불링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과 사이버불링의 관계를 살펴보고, 공격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사이버불링을 중재시킬 수 있는 개입방안 마련에 경험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555명의 설문지를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은 공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격성은 청소년의 사이버불링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은 사이버불링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격성은 청소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과 사이버불링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사이버불링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responding to cyberbullying, a new type of school violence.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use of smart media and cyberbullying was examined, and whether aggressiveness had a mediating effect. Through this study, we will provide an empirical basis for preparing interventions that can mediate adolescents’ cyberbullying. To conduct this study, a questionnaire of 555 students enrolled in middle school was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use of smart media had a positive (+) effect on aggression. Second, aggress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adolescents’ cyberbullying. Third, it was found that youth’s use of smart media had a positive (+) effect on cyberbullying. Fourth, aggress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youth’s use of smart media and cyber bullying. Based on these findings, a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 was proposed to prevent and reduce adolescents’ cyberbullying.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