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학교교사의 교직입직동기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s’ Entry Motivation on Self-Efficacy and Job-Satisfaction: Focusing on TALIS 2018

  • 634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교교사의 교직입직동기가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학교 수준의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OECD의 교수학습환경 국제조사자료(TALIS 2018)가 활용되었으며, 자료에는 우리나라 128개 중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151명의 응답이 포함되었다. 다층모형분석 결과에 따라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입직동기는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학교 수준의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개인 간 분산의 4-5%를 추가로 설명하였다. 둘째, 교직입직동기 중 사회적 유용성 동기가 개인적 유용성 동기보다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서의 개인 간 분산을 더 많이 설명하였다. 셋째, 교직만족도는 학교의 설립유형, 학교 수준의 교사-학생관계, 학교참여풍토 등 학교 수준의 특성에 의존적인 반면, 교사효능감에 대한 학교 수준 특성의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중학교교사의 교직 수행에서의 입직동기의 중요성과 향후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middle school teachers’ entry motivation could affect their self-efficacy and job-satisfac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variables, personal and classroom characteristics and school-level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a set of data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TALIS 2018) containing 2,151 teachers from 128 schools was analyzed applying multi-level model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ntry motivation positively predicted self-efficacy and job-satisfaction, and additionally accounted for approximately 4-5% of between-teacher variance in self-efficacy and job-satisfaction. Second, teachers’ social utility value explained a greater amount of between-teacher variance in both self-efficacy and job-satisfaction than personal utility value. Third, while teachers’ job-satisfaction was more likely to depend on several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school-type, school climate and school-level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elf-efficacy appeared independent of school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