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351.jpg
KCI등재 학술저널

가족놀이치료 연구 고찰: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and Effectiveness of Family Play Therapy in Korea: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20

  • 172

본 연구는 국내 가족놀이치료의 연구동향과 효과성 고찰을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학술지 논문 19편을 검토하였다. 첫째, 가족놀이치료의 연구동향을 가족치료모델 접목, 참여자 특성, 상담회기 및 연구방법, 재검증을 위한 연구보고의 구체성, 신뢰성 확보를 위한 노력 등 다섯 가지 범주로 분석한 결과, 사회구성주의, 경험적, 구조적, 해결중심 가족치료 이론 등이 가족놀이치료에 주로 접목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놀이치료 대상 중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 가족의 참여가 가장 많았으며, 회기는 평균 8회기가 가장 많았다. 가족놀이치료 연구방법은 주로 질적연구와 혼합연구로 수행되었다. 둘째, 가족놀이치료의 효과성을 고찰한 결과, 부모-자녀 상호작용 영역에서 친밀감 및 유대감 증가, 의사소통 향상, 긍정적 관계형성 등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다. 또한, 가족 건강성 증진 영역에서는 응집력과 기능향상, 체계의 안정이 있었고, 부모의 양육태도 영역에서는 양육스트레스 감소, 양육기술 향상 등의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녀의 문제행동 영역에서는 학습장애와 정서 및 행동장애 감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감소, 과대기능, 섭식장애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가족놀이치료 연구와 실천 방향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19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20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nd effectiveness of family play therapy in Korea. Methods: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review the articles which are drawn from academic journals certified as Korean Citation Index (KCI) and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0. Results: Firstly, the research trends of the papers were analyzed in five categories: application of family therapy model, participant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 & therapy sessions, concreteness of research report for revalidation, and efforts for reliability.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family play therapy, some effects were identified, such as increasing family intimacy and bonding, improving communication,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 improving family cohesion and function, stabilizing the family system,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improving parenting skills. Finally, analysis identified improvements in children s learning disabilities, reduc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reduce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hyperactivity, and eating disorders. Conclusions: Future task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family play therapy are discussed.

Ⅰ. 서 론

Ⅱ. 가족놀이치료의 개념과 실태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