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의 사회복무요원 1,421명을 대상으로 사회복무요원들의 우울이 사회복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무요원들의 복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보다는 개별적 복무상황과 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무요원들의 개별적 특성에 적합한 복무기관 연계와 정신건강문제의 선별을 위한 충분한 사전 과정의 확보, 사회복무요원들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정신건강개입의 내실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의 사회복무요원 1,421명을 대상으로 사회복무요원들의 우울이 사회복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무요원들의 복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보다는 개별적 복무상황과 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무요원들의 개별적 특성에 적합한 복무기관 연계와 정신건강문제의 선별을 위한 충분한 사전 과정의 확보, 사회복무요원들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정신건강개입의 내실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