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461.jpg
KCI등재 학술저널

평등한 박물관은 어떻게 가능한가: 접근권의 평등과 ‘비-관람객’ / ‘배제된 자들’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How Are Museums for Equality Possible? : Reconsidering Equal Right to Access and Voices of ‘Non-Audience’/‘Excluded People’

  • 185

본 논문은 근대적 국민/시민 주체의 형성과 근대적 관람객의 관계, 그 양자를 관통하는 ‘평등’이라는 근대적 가치를 현재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재의미화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 의한 것이다. 특히 본 논문은 팬데믹 상황에서 격렬하게 분출된 ‘블랙 라이브즈 매터(Black Lives Matter, BLM)’ 운동이 근본적으로 문제 삼은 근대적 박물관 패러다임과 그 뒤를 따른 신자유주의적 패러다임의 재검토를 통해, 근대적 박물관이 본령으로 삼은 ‘접근권의 평등’이 역사적으로 불평등과 차별을 근간으로 하는 정치적 기획의 일부로서 창출되었음을 명확히 하고자 했다. 또한 현재 관람객 마케팅 차원에서 사용되는 ‘비-관람객’ 개념의 정치적 속성을 재활성화함으로써 박물관정책과 운영에 핵심이 된 관람객 실증연구나 통계가 ‘비-관람객’의 정책적‧통계적 침묵과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강화하는 측면을 드러내고자 했다. 끝으로 이러한 침묵을 깨고 ‘비-관람객’/‘배제된 자들’의 목소리가 분출되어 박물관의 근본적 변화를 추동하고 있는 현재적 사례로서 BLM 운동과 그로 인한 박물관의 변화를 분석했다.

This literature began with the problematic of how to re-imag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citizens and the modern museum audiences. By doing so, I tried to figure out how the modern value of equality penetrating this relationship is being redefined at the present point. This is linked to the question of what the museums for equality is and how it can be realized. In particular, I aimed to clarify that the modern museum paradigm and the neoliberal museum management practices, which have been fundamentally challenged by the Black Lives Matter(BLM) movement in pandemic situations, were created as part of a political project based on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In addition, by revitalizing the political properties of the concept of “non-audience,” which is currently used in the marketing of museum-visitors, I examined that empirical and statistical approaches to museum-visitors, which are key to museum policy and operation, were reproducing and strengthening the silence of “non-audience” and the inequality in museums in the level of museum policy. Finally, I analyzed the BLM movement and the resulting changes of museums as a historical turning point. This is because the movement is a current example of breaking that silence, erupting the voices of “non-audience”/“excluded people” and driving fundamental changes in museums.

Ⅰ. 서론: 근대적 관람객/시민의 탄생과 접근권의 평등으로부터

Ⅱ. 불평등한 박물관과 ‘비-관람객’

1. 박물관이라는 정치적 기획과 불평등

2. ‘비-관람객’: 사회적 불평등과 ‘배제된 자들’

3. ‘비-관람객’의 침묵: 관람객 통계에서 ‘배제된 자들’

Ⅲ. 신자유주의적 전환과 ‘비관람객’/‘배제된 자들’의 목소리

1. 신자유주의적 전환: 박물관의 소비자 제일주의와 불평등의 심화

2. ‘비-관람객’/‘배제된 자들’의 목소리: BLM 운동 이후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