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중학교 가정교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Plan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DOI : 10.19031/jkheea.2021.6.33.2.115
  • 307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의생활 실천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기후변화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현상과 원인, 영향(환경적⋅경제적⋅사회적), 대응(완화⋅적응)’를 기후변화의 교육 내용 체계로 선정하고, 이를 가정 교과 의생활 단원의 분석 준거로 활용해 2015 개정중학교 「기술⋅가정」① 교과서 6종을 자료유형(읽기 자료, 그림 자료, 활동 자료) 및 의복사용주기(생산, 구매, 사용, 폐기)에따라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추출한 의생활 영역에서의 기후변화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수업 자료 및 매체를 활용하여 총 12차시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가정 교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과정안은 기후변화의 현상과 원인, 영향, 대응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학생 스스로 깨닫고, 이를 의생활 행동 실천으로 이어 가정과 사회에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lans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hat practices clothing lif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Four step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were used for the research. ‘Phenomenon and cause, impact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nd response (relaxation and adaptation)’ were selected as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for climate change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climate change. Six types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using the selected content elements for climate change as the basis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data type(reading data, picture data, activity data) and clothing use cycle (production, purchase, use, and disposal).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of climate change in the clothing life area extracted through textbook analysis, a total of 12 teaching-learning plan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re developed by utiliz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ata and media. The teaching-learning plans were designed based on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causes, effects, and responses of climate change for the students to realize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and to exercise positive influence on families and socie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