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배형(流配形)은 중죄인을 먼 곳으로 보내 격리시키는 벌로, 사형 다음가는 무거운 형벌이다. 많은 유배인들은 유배생활을 치열한 학자적 생활로 전환하였으며, 학자로서 유교적 교양을 바탕으로 한 많은 양의 지적 유산을 유배지에 남기거나 현지 주민들을 가르침으로써 교육자 또는 자기완성자로서 유인교육(流人敎育)의 여러 성과를 남겼다. 유인교육이란 유형(流刑)이 존재하던 특정 시기에 유배지에서 현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던 유배인의 제반 교육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인교육은 특히 조선시대 변방이나 도서지역에서 이루어졌던 계몽적인 교육활동으로 큰 의미와 성과가 있다. 유인교육은 유배인의 적거지(謫居地)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제한적인 폐쇄적 유인교육과, 유배인의 적거지 내에서는 물론 주로 밖에서 이루어지는 개방적 유인교육 그리고 유배인이 유배 기간이나 당대에는 별도의 대면적인 교육활동은 없었지만, 유배인의 교육적 영향력이 후대에 큰 기여를 함으로써 형성된 상징적 유인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유인교육은 유배지의 문풍(文風)을 진작시키고 과거 입격(入格)의 성과를 낳았으며, 특히 생원진사시의 입격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과거 합격자의 존재는 유인교육의 성과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앞으로 조선시대 유인교육사연구는 한국교육사 또는 한국지방교육사연구를 확장하는 중요한 개념과 교육유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Education by exiles(Exile Education) is one of the five penalties, and the direct or indirect educational activities of exiles for local residents in exiles during certain historical periods when exile, a punishment for sending a criminal to a distant place, existed. it means. Education by exiles has great significance and results, especially as an enlightening educational activity that took place in the outskirts or islands where educational benefits were absolutely poor during the Joseon Dynasty. Education by exiles can be divided into closed, open, and symbolic education. Closed education refers to limited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exiles exiles, and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ose of Chusa Kim Jeong-hee and Myeonam Choi Ik-hyun. Open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al activities conducted mainly outside of the exile s exile,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Jisan Jo Ho-ik s educational activities. Symbolic education is an educational activity formed by the exiles during exile, but no separate face-to-face educ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period, but the educational influence of the exiles contributed greatly to the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education by exiles (Exile Education) could be positioned as an important concept and type of education to expand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or the history of Korean local education.
Ⅰ. 서론
Ⅱ. 유배와 유인교육의 관계
Ⅲ. 유인교육의 의미와 특징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