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578.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재학생이 지각한 영재성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 인성, 교육적합성, 부모 심리적 환경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of mental health, virtue & competence, educational fit, and parental psychological environments by perceived giftedness of gifted students

DOI : 10.15564/jeju.2021.06..23.2.85
  • 49

본 연구는 영재학생이 지각한 영재성 수준에 따라 정신적 안녕감과 정신병리, 인성, 교육적합성, 부모 심리적 환경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11-15세의 영재학생 131명(M=13.85)이었다. 수과학융합전공 중심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영재학생들이 지각한 영재성 수준과 교육적합성, 정신적 안녕감 척도, 자기보고식 다차원 증상 설문지, KEDI 인성 척도, 가정 심리적 환경검사(학생용)를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술통계, 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기법, 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영재성 집단이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지능과 학업성취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재성 집단의 평균은 모두 정신적 안녕감이 유의미한 안녕감의 기준 보다 높고, 정신병리는 유의미한 증상의 기준 보다 낮은 완전정신건강집단에 속하였다. 세부적인 요인과 집단별로 영재성 집단1은 영재성 집단4 보다 정신병리의 강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인성의 자기존중과 자기조절, 지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영재성 집단의 정신적 안녕감, 교육적합성, 부모 심리적 환경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모든 요인에서 영재성 집단2와 영재성 집단3의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의해 정신병리를 예방하고 정신적 안녕감과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재교육 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mental wellbeing & mental psychopathology, virtue & competence, educational fit, and parental psychological environment by perceived giftedness level of 131 gifted students, mainly major of mathematics & science, of 11-15 ages(M=13.85) were assessed by self-report scales. Research method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 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 Results were that average of mental health of four giftedness groups was belonged to the complete mental health group which was shown as high mental wellbeing & nonsignificant symptoms of mental psychopathology, but obsessions of the 1st giftedness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than those of their fourth giftedness group. Self-esteem, self-control, and wisdom of the 1st giftedness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those of their 4th giftedness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preventing psychopathology, & improving giftedness in virtue & competence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was recommended in conclus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로딩중